광주 상수원보호구역에 레미콘공장 허가…주민들 "특혜의혹"

“소음 피해·환경 훼손 불보듯”...공사 중지·허가 취소 강력 촉구

팔당상수원특별대책지역으로 개발이 제한되는 광주지역에 20년 만에 레미콘공장 허가가 나 주민들이 특혜의혹을 제기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14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D아스콘은 지난 6월 직동 102-20번지 일원 6천326㎡ 부지 중 4천998㎡를 레미콘공장으로 운영하겠다며 허가를 신청했다. 건축 면적 1천355㎡에 건물 2동과 레미콘 제조시설인 사일로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해당 공장에선 레미콘 차량 35대와 골재 운반 차량 3대 등이 운행된다.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 19.4t은 전량 위탁 처리한다. 시는 지난달 12일 건축허가를 내줬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소음과 환경 훼손 등을 이유로 공사 중지와 허가 취소를 요구하고 있다.

상수원보호구역과 특별대책지역으로 지난 20년 동안 단 한차례 인허가도 없었던 상황에서 허가 접수 5개월여 만에 속성으로 이뤄진 허가는 파격을 넘어 특혜에 가깝다는 것이다.

특히 주민들은 시가 협소한 공장 부지 면적과 현실성 없는 폐수 위탁처리 방식 등에도 허가를 내준 것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최소 9천㎡, 평균 1만5천㎡ 이상인 일반 레미콘공장과 비교해 부지 면적이 협소한 데다 해당 업체가 제시한 레미콘 35대(하루 80회)와 골재 운반 차량 3대(하루 6회) 운행 계획으로는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19.4t의 폐수 위탁처리 방식은 현실과 동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주민들은 국민동의청원을 진행하는 한편 허가 취소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비대위를 구성했다.

해당 업체 관계자는 “시에 제출한 차량 진출 계획서와 폐수 배출량 등은 유동적이다. 하루 3~4회 운행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비대위원장으로 선출된 박현철 전 시의회 의장은 “정보 공개와 감사원 감사청구 등을 통해 설립을 저지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세환 시장도 “공장 허가는 납득할 수 없다. 감사 등을 통해서라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