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를 영어로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영어통용도시’로 만든다.
19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 영어통용도시 지정 및 시범운영 방안 연구용역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1억3천만원을 투입해 영어통용도시 밑그림을 그린다.
앞서 인천경제청이 지난해 한 외국인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212명 중 142명(67%)이 언어의 어려움을 불편사항으로 꼽았다. 인천경제청은 외국인 수가 지난 2003년 415명에서 현재 6천543명으로 15배 급증해 외국인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인천경제청은 우선 이번 용역을 통해 송도국제도시의 외국인 고용, 재학 및 주거현황 등을 분석하고 관심사항 및 불편사항을 조사하는 등 정주여건을 객관적인 지표로 진단한다.
이를 토대로 인천경제청은 영어통용도시 조성 목표와 장·단기 과제를 정한 뒤, 과제별 추진 방법 등을 구상한다. 또 공공기관 및 공무원의 영어 통용 환경 조성과 영어교육을 위한 거점 기관을 마련하고, 영어 통용 거리 등을 구상하는 등 영어문화 확대도 추진한다.
특히 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도시로 영어통용도시 추진을 시범적으로 이어간 뒤, 이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내 영어통용도시 확대도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IFEZ내 외국인 투자 유치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경제청은 이 과정에서 부산시의 영어상용도시 정책과 제주도의 영어교육도시 조성 등을 참고하고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제안할 예정이다.
다만, 인천경제청이 많은 시민의 호응 등을 얻어야 영어통용도시로서 성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인천시가 지난 2007년 민선 5기 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앞두고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로 ‘영어자유도시’를 추진했다가 실패했다. 당시 시는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관·시설·업체 등을 지원하는 ‘영어사용인증제’ 등을 도입했지만 흐지부지 사라지기도 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송도국제도시를 IFEZ의 영어통용도시 시범 도시로 만들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어와 영어 2가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도시가 목표”라며 “주민 수용성을 높여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