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적수 사태 3년] ‘수질개선 사업’ 지지부진… 인천 곳곳 민원 급증

물 냄새·맛 정화하는 ‘고도정수처리 시설 구축’ 추진
내부심의 통과 못한 탓에 공사기간 늘어 착공 연기
노후 송수관 교체·신설도 제자리… 市 “조속 처리”

인천시가 지난 2019년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 이후 지역 내 곳곳에서 추진 중인 수돗물 수질 개선 사업 일부가 차질을 빚고 있다. 적수 사태 이후 3년이 지났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되레 수돗물 관련 민원이 늘어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9일 시에 따르면 적수 사태 발생 이후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와 각종 시설 개선, 노후관 교체와 세척 등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시는 오는 2024년까지 사업비 583억원을 들여 수산정수장에 물의 냄새와 맛을 정화하는 고도정수처리 시설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의 표준정수처리 공정으로는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지 못한다. 팔당호에서 끌어오는 수돗물 원수에는 각종 유기화합물 탓에 곰팡이·흙 냄새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수산정수장에서는 1일 38만㎥의 수돗물을 중·미추홀·연수·남동구에 사는 37만명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하지만 시가 시설 구축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면서 착공이 늦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당초 세운 계획에 시운전 기간과 조경 등 환경 관련 시공을 포함하지 않아 공기산정적정성을 따지는 내부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는 당초 공사 기간을 36개월로 설정했지만, 내부 심의 과정에서 나온 지적 사항인 시운전 기간 등을 포함하면 공사 기간이 47개월로 늘어난다. 현재 시는 지난 2월에 하려했던 착공은 물론 시공 업체와의 계약도 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준공은 2026년까지 잠정 미뤄둔 상태다. 시 관계자는 “당초 공기를 너무 빠듯하게 잡다보니,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며 “가능한 빨리 착공하기 위한 내부 절차를 밟고 있다”고 했다.

특히 시는 지난 2020년부터 370억원을 투입해 강화지역 일대까지 수돗물이 이동하는 노후 송수관 교체·신설하는 사업도 1년이 넘도록 사업이 멈춰서 있다. 뒤늦게 사업지인 초지대교~구강화대교 구간에 문화재인 강화 외성이 있다는 것을 파악했기 때문이다. 문화재 인근에서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문화재청의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가 필수인데, 1년 넘게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시는 이달 중 문화재청에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재신청할 계획이다. 만약 이번에도 허가를 받지 못하면 사업은 1년여 더 미뤄진다.

이러다보니 지역 곳곳에서의 수돗물 관련 민원은 급증하고 있다. 강화지역은 적수 의심 및 이물질 발견 등으로 인한 민원이 지난해 50건에서, 올해들어 지난달까지 80건으로 늘어났다. 수산정수장의 담당 지역인 중·미추홀·연수·남동구에서는 올해만 수돗물의 악취 및 적수 의심 민원이 300여건에 달한다.

시 관계자는 “수돗물 수질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큰 만큼 관계 기관과 협의하겠다”며 “수돗물 위생관리 사업을 최대한 빨리 추진하도록 애쓰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