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 등 일부 지역 “보건인력 보호” 이유 통제 거리두기 해제에도 미개방… 민원인 ‘불법 주차’ 내몰려 보건소 관계자 “코로나 종식 때까지 진입 통제 불가피”
인천지역 일부 보건소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주차장을 직원들에게만 개방해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22일 인천 10개 군·구 등에 따르면 부평구 등 일부 보건소는 민원인에게 주차공간을 개방하지 않고 있다. 부평구보건소는 직원에 한해 주차가 가능하고, 서구보건소는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주차장에 설치돼 이용이 불가능하다. 반면 중·동·남동·계양구와 강화·옹진군의 보건소는 주차장을 개방 중이다. 미추홀구보건소는 주차장 공사 중이다.
주차장을 개방하지 않는 일부 보건소는 주차 통제가 코로나19 확산으로부터 보건인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보건소 주차장에는 직원 차량들이 모든 주차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직원 전용 주차공간으로 둔갑한 셈이다.
문제는 보건소에서 코로나19 관련 업무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어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임신용품 지급, 보건증 발급, 접종 등 다른 업무를 보기 위한 민원인들의 방문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보건소 내에 주차할 공간이 없다 보니 보건소 앞에 불법주차한 차량들이 즐비한 상황이다.
임산부 지원용품을 받으러 부평구보건소를 찾은 김씨(32·여)는 “초기 임산부라 주의가 필요해 차를 가지고 방문했는데 막혀 있어 주변에 주차하느라 애를 먹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몇 달 뒤 엽산제를 지급한다고 방문하라 하는데 다신 오고 싶지 않다”고 푸념했다. 한쪽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 박씨(65)도 “예방접종을 하려고 보건소를 방문했지만 주차할 곳이 없어 불법주차하고 보건소에 들어갔다”고 토로했다.
더욱이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하려는 민원인들이 보건소를 찾는 상황에서 주차장만을 폐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심지어는 어린 아이들도 마스크를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나오는 상황”이라며 “행정·보건서비스를 해야 할 보건소가 공무원들의 안전을 이유로 대민서비스에 소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고 주민들을 생각하지 않는 일방적 행정이므로 개선이 시급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한 보건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어쩔 수 없는 통제조치”라며 “코로나19가 종료될 때까지 주차장 진입 통제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수·김수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