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녹색기후기금(GCF) 콤플렉스 조성 사업에 속도를 낸다. 시는 최근 사업 타당성과 기본계획 등을 세울 용역 입찰을 2번이나 유찰한 끝에 겨우 업체를 선정했다.
25일 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사업비 2천634억원을 들여 연수구 송도동 24의1에 지하 3층 지상 33층 규모(연면적 9만㎡)의 GCF 콤플렉스를 짓는 사업을 하고 있다. 시는 유정복 시장의 공약에 따라 오는 2028년까지 GCF 콤플렉스를 준공하기로 했다. GCF 콤플렉스는 GCF와 함께 기후 관련 국제·금융기구 등을 집적화하는 국제협력 플랫폼이다.
시는 최근 이 같은 GCF 콤플렉스 조성 사업과 관련, ‘GCF 콤플렉스 조성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맡을 A업체를 최종 선정했다. 시는 지난 23일 A업체의 정성·정량 항목 등을 평가하는 적정성 심의를 거쳐 A업체가 용역 추진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시는 이달 말 A업체와 수의계약을 한 뒤 다음달 중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에 착수한다. 용역 기간은 1년이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GCF 콤플렉스의 사업 입지와 활용도 등을 비롯해 주민설명회를 통한 의견 수렴 방식과 G타워와의 연계성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 기후 산업 육성을 통한 인천의 기후대응 글로벌 리더 도시 발판 전략 및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도 찾는다.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제회의장 조성과 금융 글로벌 네트워크 중심지 육성 등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앞으로 시는 용역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타당성조사,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 공공건축 심의 등의 행정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앞서 지난 7월과 8월 2차례 입찰을 진행했지만 아무도 참여하지 않아 잇따라 유찰했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서는 사업이 무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2차례 유찰로 사업이 2개월 늦은 만큼 가능한 이른 시일 안에 수의계약을 맺고 용역을 추진하겠다”며 “2028년까지는 준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인천은 국내 최초로 세계 최대 규모의 기후변화기구인 GCF사무국을 유치했지만 국내 산업과의 시너지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내년 GCF사무국 근무인원이 230명에서 500명으로 늘어 시설 확충이 시급하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