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서비스 이용자 4명 중 3명은 광고를 보고 넷플릭스를 싸게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 이슈'(Media Issue) 8권 5호에 따르면, 응답자 1천 명 중 72%가 '광고요금제'가 출시되면 이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무조건 이용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3%에 불과했고, 응답자 다수(69%)는 광고량·구독료 등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광고요금제는 콘텐츠에 광고를 붙여 이용자가 광고를 보게 하는 대신 기존보다 저렴하게 내놓는 것으로, 넷플릭스가 올해 11월 1일 출시를 앞두고 있다. 넷플릭스를 포함해 OTT 서비스를 하나라도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들 중 76%가, 비이용자 중 54%가 각각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무조건 이용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OTT 이용자 집단에서도 4%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넷플릭스는 이용하지 않으면서 타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1%만 이 요금제를 무조건 이용하겠다는 의향을 밝혔고, 조건부 이용은 69%에 달했다. 이는 기존 넷플릭스 이용자의 '광고요금제' 전환 또는 타 서비스 이용자의 신규 유입을 위해 적정 수준의 광고 배치와 요금 책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플릭스 '광고요금제'를 조건부로 이용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들은 △광고를 보는 대신 기존 이용료보다 얼마나 더 저렴해지는가(64%)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어 △중간광고 유무, 즉 콘텐츠 내에 광고가 들어가는가(56%), △콘텐츠 하나당 붙는 광고 수와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요금제' 이용 여부를 결정할 때 중간광고 유무가 콘텐츠당 붙는 전체 광고량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슷한 맥락에 '광고요금제' 이용 의향이 있는 응답자들이 '콘텐츠 시작 전에만 광고가 붙고 기존 요금제에서 조금 덜 깎아주는 광고요금제'를 선택한 비율이 69%로 가장 높았다. '콘텐츠 시작 전과 중간에 모두 광고가 붙고 기존 요금제에서 조금 더 많이 깎아주는 광고요금제'는 31%였다. 이는 중간광고에 대해 응답자들이 상당히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넷플릭스 이용자들 3명 중 2명꼴로 현재 넷플릭스 요금이 '다소 비싼 편'(67%)이라고 보았고, 넷플릭스 이용 경험이 있으면서 타 OTT 서비스를 하나 이상 사용하고 있는 응답자들도 이와 유사하게 다른 OTT 대비 넷플릭스 요금이 '다소 비싼 편'(66%)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전에 넷플릭스를 이용하다가 중단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이용 요금이 부담돼서'(5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종합하면, OTT 이용자들은 전반적으로 넷플릭스 이용 금액 자체에 다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는 20~50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자세한 조사결과는 '미디어이슈' 8권 5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재단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장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