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문화산업 발전방안은? 한국도자재단 ‘2022 공예메이커 컨퍼런스’ 성료

image

한국도자재단이 ‘2022 공예메이커 컨퍼런스’를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 6일과 7일 이틀간 여주 경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 열린 이번 학술회의는 공예 관련 교육, 체험, 마켓, 전시, 이벤트 등이 열린 공예 문화 축제 ‘2022 경기공예페스타’의 행사 중 하나로 마련됐다.

공예 분야 전문가들은 토론과 현장 질의를 통해 공예문화산업 발전 방안과 공예창작지원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함께 그렸다.

6일 진행된 학술회의는 ‘공예 창업 성공 전략 및 육성 지원 방안’을 주제로 ▲박찬호 서울 번드 대표 ▲박형진 플럭스(FLUX) 대표 ▲현광훈 스튜디오쓰리핸즈 대표 ▲심사영 그레이스오브제 스튜디오 대표 등 4명이 토론자로 참석해 공예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창업 성공 전략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펼쳤다.

7일 학술회의는 ‘공예창작지원센터의 역할 및 발전방안’을 주제로 ▲박태성 성신여대 공예과 교수 ▲이정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예과 교수 ▲진정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본부 공예정책팀 팀장 ▲천종업 인덕대학교 리빙세라믹디자인학과 교수 등이 의견을 펼쳤다.

박태성 성신여대 공예과 교수는 “우리 공예산업이 선진 공예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선진 수준의 산업화 과정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인재 양성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며 “선진 공예산업 교육을 통한 청년 공예가의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예창작지원센터의 역할은 단순한 제작 환경 지원에서 나아가 대학과 산업체가 못하는 특정 영역의 교육지원센터로 역할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흥식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 공예인 경쟁력 강화, 공예 문화 확산 등 공예문화산업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