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내버스 기사들의 불친절이 도를 넘어 시민들이 불안해할 지경이라고 한다. 난폭운전이나 무정차 통과 등은 물론, 최근에는 시민들에게 막말과 폭언을 퍼부어 물의를 빚고 있다. ‘시민의 발’을 자처하지만, 시내버스 불친절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문제는 조금씩이라도 나아지기는커녕, 갈수록 시민들의 시내버스에 대한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중에는 승객들이 차에 오를 때마다 일일이 인사를 건네는 기사들도 적지 않다. 시민 세금이 들어가는 준공영제 시행 13년째인데도 서비스는 뒷걸음질인가.
최근 인천시 시내버스 민원창구에 비친 사례를 보자. 한 20대 여성 승객은 버스를 탈 떄 친구와 통화를 하고 있었다. 곧 버스기사의 호통이 날아왔다. “전화하는 아가씨 끊어라” 전화를 끊고도 “개념이 없는 것 아니냐”는 소리를 들었고 황급히 내려야 했다. 이후 버스를 탈 때마다 심장이 뛰고 어쩔 줄 몰라 하는 공황장애를 호소한다. 또 다른 30대 여성 민원인도 버스에서 조용한 목소리로 통화를 하다 봉변을 당했다. “xxx야 전화 끊어라” 등 입에 담지 못할 막말이었다. 가족이 버스회사에 민원을 넣었지만 오히려 고자세였다. 인천시 버스정책과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인천시 감사관실을 찾고서야 버스회사 간부와 기사의 사과를 받을 수 있었다. 일부이긴 하겠지만, 시민들이 출근길에 이런 일을 당했다면 그 날 하루 어떤 기분이겠는가.
인천 시내버스에 대한 시민들 민원은 2020년 1만3천872건에서 지난해 1만7천520건으로 26.2%나 증가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접수된 버스불편 민원 8천193건을 보자. 무정차 통과가 2천853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불친절 1천507건, 승차거부 897건, 난폭운전 836건, 배차간격 미준수 525건 등이다. 그러나 인천시의 처분은 미미하다. 과징금이나 과태료 처분은 각 37건, 649건에 그쳤다. 시정경고나 불문 처분이 대부분이다.
인천시가 지난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을 위해 투입한 재정지원금이 2천181억원이다. 2009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지원금은 해마다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18년 처음 1천억원을 넘어섰는데 불과 4년 만에 다시 2배 더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 영향도 있지만 지난 3년간 버스기사 임금이 20% 인상된 점도 한 이유다. 이 모두 인천시민들 주머니에서 나온 세금이다. 그렇다면 그 시민들은, 귀찮은 승객이 아니라 사실상 준공영제 버스의 오너가 아닌가. 주객전도다. 인천시도, 버스기사도 시민 세금값을 제대로 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