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심각하다. 정부가 여기저기 신도시만 조성해 놓고 교통망 확충에 소홀한 탓이다. 신도시 건설 때마다 주택과 교통, 일자리를 충족시키는 신도시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정부 말만 믿고 입주했던 주민들은 출퇴근시간이면 교통지옥을 겪게 돼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특히 수도권 2기 신도시는 입주를 시작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교통난이 여전하다. 계획했던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 주민들이 불편과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심각한 교통 문제를 안고 있는 신도시에 대해 ‘특별관리’를 한다는 소식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2기 신도시를 포함해 128개 지구의 광역교통 현황을 전수조사해 교통난 개선이 시급한 37곳을 집중관리지구로 지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입주가 진행됐거나 1년 내 입주 예정지 중 철도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등 특별대책지구 요건에 해당하는 곳(24곳)과 교통 서비스 하위 지구로 분류된 곳(13곳)이다. 집중관리지구에는 남양주 별내, 하남 감일, 위례, 화성 동탄2, 평택 고덕, 수원 호매실·광교, 파주 운정3, 인천 검단, 고양 향동·지축·원흥 등이 포함됐다.
국토부는 이들 지역에 광역버스를 늘리고, 출퇴근 전세버스와 2층 전기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시내버스·마을버스를 늘리고 운행노선·횟수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 버스(DRT)를 도입해 출퇴근 교통 문제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GTX·지하철 개통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버스부터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집중관리지역별 교통 대책은 이달 중 수원 호매실과 화성 동탄2가 먼저 발표된다. 두 지역은 2020년 말 특별대책지구로 지정됐지만, 코로나19로 광역교통 수요 예측이 어려워 대책 수립에만 2년여가 걸렸다는 변명이다. 국토부는 내년 1분기까지 10개 집중관리지역에 대한 교통난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광역교통개선대책 전반을 손보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 효과를 당장 내기도 어렵다. 때문에 버스 증차나 마을버스 확충, DRT 도입 등 당장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단기 대책이라도 시행하는게 다행스럽다. 아쉬운 점은, 이 정도 대책이라면 벌써 시행할 수 있었는데 정부나 지자체가 방치하면서 너무 안일하게 대처했다.
이번 단기대책은 근본 해결책이 못 된다. 도로·철도·환승센터 등 광역교통 시설 확충과 대중교통 서비스 등 전반적인 개선 대책을 되도록 빨리 시행해야 한다. 신도시 조성에 따른 교통난 문제는 향후 조성될 3·4기 신도시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 앞으로 신도시 광역교통 정책은 ‘선교통·후개발’로 전환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