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의 국회 발언이 파문을 일으켰다.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김일성주의자라고 규정했다. 문제의 발언은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서 시작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종북주의자다라고 지금도 생각하고 계십니까.”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이 답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신영복 선생을 존경하는 사상가라고 말한다면 확실하게 김일성주의자입니다.” 야당이 들고 일어났고, 전해철 위원장이 국감에 방해된다”며 그를 퇴장시켰다.
김 위원장은 앞서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과의 질의 응답에서도 충돌했다. 윤 의원이 “(제가)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수령님께 충성하고 있다는 생각에 변함 없습니까”라고 물었다. 과거 같은 내용의 김 위원장 주장을 재확인하는 질문이었다. 김 위원장은 “그런 점도, 있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 윤 의원은 ‘모욕감에 피가 거꾸로 솟는 느낌’이라고 했고 야당 의원들이 항의했다. 전 위원장이 이때도 ‘국회 모욕’이라며 감사 중지를 선언했다.
전제가 있기는 했지만 직전 대통령을 김일성주의자로 단정하는 발언이었다. 현직 야당 의원을 향해 ‘(당신이) 수령님께 충성하고 있다는 (내) 생각에 변함이 없다’는 직격이었다. 적절치 않은 발언이다. 국정감사장은 국민 대표가 관장 업무를 감사하는 장소다. 피감 기관의 책임자는 업무를 설명하고 평가 받을 책임이 있다. 정치 문제로 비화할 만한 언행은 금해야 한다. 김 위원장의 발언은 이 경계를 명백히 벗어났다. 물론 객관성도 결여된 주관적 판단이다.
물론 야당 의원의 질의도 적절하지는 않았다. 윤 의원의 질문은 경사위 업무와 무관했다. 본인을 비난했던 전력을 상기시켜 굴복 받으려는 의도가 농후했다. 문 전 대통령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 역시 해당 업무와는 상관 없다. 어찌 보면 야당이 김 위원장 앞에 덫을 놓고 기다린 셈이다. 그렇더라도 김 위원장의 답변이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직답을 피해 갈 여지도 있었다. 그런데도 파문이 뻔한 선택을 했다. 개인 소신과 기관 책임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 파행으로 묻힌 김 위원장의 발언이 있다. 노동 현장의 문제를 지적하는 그의 견해다. ‘노동권과 기업할 권리, 재산권은 형평을 이뤄야 한다. 이게 기울어지면 안 된다. 기업이 어려워지면 노동자가 더 어려워진다. 노사는 반드시 상생해야 한다. 86% 이상의 미조직 근로자들도 있다. 그들을 찾아가서 말씀 듣겠다.’ 기업 현장에 대한 옳은 판단이다. 이런 판단이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으면 좋다. 안타깝게도 그런 기회가 김 위원장에서 멀어지는 것 아닌가 싶다.
경기도지사였다. 많은 경기도민이 기억한다. 이번 사태를 보는 도민의 평가가 그래서 복잡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