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저소득층 14.1% 가장 높아... 송도·청라있는 연수구 6.9% 불과 지역별 소득 격차도 크게 벌어져... 원도심 소득 창출 정책마련 시급
인천의 원도심과 신도심의 소득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 8기 인천시의 시정 가치가 ‘균형’인 만큼 원도심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2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내 총 128만6천332가구 중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은 13만7천674가구(10.7%)다.
이중 지역 내 8개 구의 저소득층 가구 비율은 인천의 대표적 원도심인 동구가 14.1%(3천487가구)로 가장 높다. 계양구 13%(1만6천603가구), 부평구 12.3%(2만6천293가구), 남동구 11.8%(2만8천856가구), 미추홀구 11.7%(2만2천707가구), 중구 11%(7천948가구) 등 6곳은 인천 평균을 넘는다.
반면 송도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 등 신도심이 있는 연수구는 6.9%(1만873가구), 서구 8.4%(2만53가구)에 불과하다. 이 밖에 옹진군은 7%(1만2천238가구)다. 시 관계자는 “최근 강화를 제외한 9개 지역의 저소득층 관련 빅데이터를 추출해 분석했다”며 “저소득층이 원도심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는 셈”이라고 했다.
특히 같은 지역 내에서도 상권과 생활 인프라 등이 부족한 지역에서 저소득층 가구 비율이 높았다. 동구에서는 화수1·화평동의 주민 18.7%가 저소득층으로 가장 높다. 이 곳은 세숫대야냉면거리 이외에 별다른 상권이 없는데다, 대단지 아파트가 없는 대부분 노후 주택과 빌라가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의료원과 대형마트 등 생활 인프라와 대단지 아파트가 있는 송림4동은 저소득층이 4.6%에 불과하다.
계양구도 노후 빌라 및 소규모 연립주택이 몰려 있는 계양2동의 저소득층 가구 비율이 16%에 달하지만, 용종음식문화시범거리, 대형마트, 문화복합시설 등이 있는 계산4동은 8%에 그친다.
신도심이 있는 지역도 소득 격차가 크다. 연수구는 원도심인 선학동의 저소득층은 18%로 많지만, 신도심인 송도3동은 0.37%(71가구)에 불과하다. 선학동은 대부분 노후 주택·빌라인데다 상권은 선학먹자골목만 있을 뿐이며, 송도3동은 대형마트와 송도테크노파크 IT센터가 있다.
서구도 대형 상권이 없는 원도심 석남3동은 저소득층이 18.5%에 달하는 반면, 수변 상권 등이 신도심 청라1동은 고작 1.3%다.
이와 함께 지역 내 65세 이상 노인 가구 비율도 원도심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구의 노인 가구 비율은 28%(6천909가구)가 노인 가구다. 화수2동은 노인 가구 비율이 무려 59.9%에 달한다. 또 연수구 선학동은 11.9%(980가구), 서구 연희동은 4천197가구(22%) 등이 노인 가구다.
그러나 신도심인 연수구 송도3동은 1.59%(300가구), 청라3동은 1.71%(203가구)에 그친다.
서봉만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위원은 “노인 가구는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창구를 찾기 어려워 자연스럽게 지역 소득 자체가 떨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역 내에 소득 창출 창구와 청년 가구의 외부 유입 등을 이끌어 내 지역 격차를 해소할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 원도심 노인 일자리 창출 시급…생활밀착형 상권 맞춤형 일자리가 대안
인천지역 원도심에 사는 노인 등 저소득층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원도심 지역은 노인 가구 비율이 높을수록 저소득층 가구 비율도 같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미추홀구 도화1동은 저소득층 가구 비율이 12.1%, 노인 가구의 비율은 13.9%이다. 이곳에는 전통시장 1곳만 있을 뿐, 인근에 상권 등이 갖춰져 있지 않다.
또 인근 숭의4동은 저소득층 14.2%, 노인 13.%에 달한다. 이곳에는 경인국철 제물포역이 있지만, 상권이 침체해 있다. 동인천동도 전반적인 상권 침체 등을 겪으면서 현재 저소득층 26.3%, 노인 22.3%에 달한다.
서봉만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위원은 “노인 가구가 많은 원도심에는 노인 인력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지 않아 지역의 전체 소득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시대 흐름에 맞는 생활 인프라나 경제 활동 등은 대부분 신도심으로 옮겨간 탓에 현재 원도심에는 소득 창출 창구뿐만 아니라, 유능한 인재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원도심의 생활밀착형 상권 활성화를 통한 맞춤형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단순 노인 일자리 지원이 아닌, 문화콘텐츠와 특정 콘셉트 등을 접목해 전통시장 등 쇠퇴한 상권의 지역 특성을 부각시킬 창조적 일자리를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변병설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지자체가 나서 노인 대상의 역량강화·실무교육을 확대해 청소 등 임금이 낮은 일자리가 아닌, 상권 및 기업 등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민선 8기의 시정가치가 ‘균형’인 만큼 현재 지역 균형을 위한 일자리 관련 장기 종합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를 통해 지역별 원도심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하고, 소득과 노인 집중화 현상 등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