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핼러윈 대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7곳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2일 오후 2시부터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등에 수사 인력을 보내 참사 당일 112 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확보했다.
경찰이 이번 참사와 관련해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중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과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 용산경찰서 정보과 등이 중점 수사 대상이다.
특수본은 확보한 자료를 통해 참사 전 약 4시간 동안 11건의 신고를 받은 담당 경찰관들이 직무상 책임을 다했는지, 신고 상황을 전파 받은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는 적절했는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앞서 경찰청이 1일 공개한 참사 발생 전 11건의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경찰은 ‘압사’ 등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구체적인 신고에도 경찰은 경비인력을 늘리는 등 적극적으로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은 신고를 받은 뒤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에 이를 전달했는데, 11건의 신고 중 현장출동은 4건에 그쳤다.
또 특수본은 핼러윈을 관리할 경찰력 투입 계획 등 전반적 준비 상황을 확인해 사고 당일 용산경찰서가 취한 안전관리 조치의 적절성도 확인할 예정이다. 여기에 용산경찰서가 핼러윈을 앞두고 기동대 경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울경찰청이 거부했다는 의혹도 따져볼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특수본은 용산구청 안전재난과 등 관련 부서에서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참사 사흘 전인 지난달 26일 용산구청이 경찰서와 이태원역 등과 ‘핼러윈 안전 대책 간담회’를 하고도 적절한 안전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다.
한편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태원 참사’ 발생 1시간59분 뒤인 지난달 30일 0시14분께 상황을 처음으로 인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