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환경부, 서울‧인천시장과 공동 협력할 것”

수도권매립지가 오는 2025년 사용종료 예정인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수도권 매립지 문제와 관련해 서울·인천시와 환경부 등 4자 협의를 통해 해결책을 찾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시용 도의원(국민의힘·김포3)은 3일 경기도의회 제365회 정례회 3차 본회의 도정질의에서 “쓰레기 배출이 급증했음에도 쓰레기매립지 등 처리시설 확충은 답보상태”라며 “현재 사용 중인 3-1 매립장 사용이 완료되기 전까지 서울·인천·경기도는 대체매립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어 그는 “추가매립지를 사용한다고 해도 궁극적인 해결방법은 아니지 않나”며 “환경 문제에 있어서 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고, 지원과 보상에 있어서 도민이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도의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기도의 전체 폐기물 발생량은 2018년 8만5천174t, 2019년 9만 5천729t, 2020년 10만8천168t으로 계속해서 증가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같은 기간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된 경기도의 생활쓰레기 양은 매년 120만t에 이른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경기도, 서울시는 지난해 1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대체매립지 공모에 나섰다. 하지만 매년 늘어나는 쓰레기 배출량에도 해당 사안은 여전히 답보 상태로, 경기도와 서울·인천시는 후속 대체 매립지를 못 구하면 수도권매립지 잔여 부지의 최대 15%를 추가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 중이다.

이날 김 의원은 김동연 지사에게 “환경부는 오는 2031년이면 공공매립시설 215곳 중 47%에 달하는 102곳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며 “수도권매립지는 지난 1992년 운영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1억5천t에 달하는 폐기물을 처리했다. 예상되는 쓰레기 대란에 대해 도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수도권 인구 2천600만명의 삶의 질이 달린 문제인 만큼 서울·인천 시장과 환경부장관과 수도권매립지 4자협의체를 정상 가동해 지속적으로 수도권매립지 공동현안 해결을 논의하고 풀어나가겠다”며 “소각시설 신·증설 및 대보수 추진 등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사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