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접하는 연령대 낮아져... 흡연 위험성 알고 있음에도 또래집단 내 과시 형태 지속 보여주기식 금연 교육보다 근본 원인 해소 방안 찾아야
필자의 주변에는 흡연을 하는 친구들이 많다. 사회적 통념상 미성년자의 흡연은 금기시되고 있으나 위법적인 경로를 통해 담배를 접하는 청소년들이 매우 많다. 심지어 처음 흡연을 시작하는 연령대 역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최근 국내에서도 마약류 취급이 빈번히 일어나며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런 문제에 시선을 뺏겨 청소년들의 흡연 문제를 등한시해선 안 된다.
흡연의 근본적인 문제는 신체적인 것에 있다. 지금까지 교내에서 혹은 공익광고에서 흡연의 유독성에 대해 교육받은 학생들이라면 흡연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교육의 효과로 대다수 청소년은 담배라는 사물 자체를 기피하고 사회적으로 흡연을 금기시하는 분위기도 형성됐다.
하지만 몇몇 청소년들에게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 같은 문제점을 무시한 채 동급생들 사이에서의 체면, 무리의 중심이 되고 싶은 욕망 때문에 흡연을 한다. 이런 양상을 보고 알 수 있듯이 청소년들의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선 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아닌 흡연을 하는 근본적 원인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공익광고 등에서 흡연의 위독성을 알리고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멋진 행위임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보여주기 방식보다 당사자들에게 직접적이고 강렬한 인상을 심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그 수단 이 공격적이고 거친 표현일지라도 사회 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실행해야만 한다.
무리 내에서의 우월감과 중심에 서고 싶다는 권력욕이 발동하는 것은 이 시기에 당연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그 시기에 이런 욕구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우리의 학창 시절을 돌아볼 때 조용하고 말수가 적어도, 혹은 비싼 옷을 입지 않아도, 공부를 그다지 잘하지 않아도 적거나 많은 수의 친구를 사귀며 나름의 학창 시절을 보내는 아이들이 소위 일진인 아이들보다 더 많다.
그리고 그들이 학창 시절 권력을 누리지 못했더라도 대부분의 학생은 아주 평범하고 평화롭게 잘 살아간다. 권력욕과 과시욕 때문에 흡연하는 청소년에겐 그런 심적 동기가 무의미하고 심지어 하찮기도 하다는 것을 일깨워줄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흡연을 통해 바라볼 때 학교 내 비행 청소년들의 행위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따져보지 않아도 한낱 어린애 장난에 불과한 무의미한 행위임을 알 수 있다.
학창 시절은 친구들과 소중한 우정을 쌓을 수 있고 비교적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양질의 정보들을 흡수하며 자신의 가치관 확립에도 중요한 시기다.
어린 시절 탈선 행위에서 짧은 쾌락을 찾기보단 오랜 세월을 쾌락 없이도 살 수 있을 만큼의 마음의 양식을 쌓아보는 것은 어떨까.
더 나아가 흡연 이외의 탈선 행위 역시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춰 해결 방안을 모색하면 청소년의 비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지현 고양 화수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