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도 경기도다] 북부도시 주름 깊은데... 노후 혜택 남부만

고령친화도시 수원·성남 등 4곳, 북부 지역은 전무… 조례도 없어
가평·양평 등 복지시설 접근 낮아...“지역사회의 선제적 관심 필요”

수원특례시 한 노인복지관에서 어린이집 원아들과 어르신들이 소통하는 모습. 조주현기자

경기도내 초고령도시가 모두 경기북부에 있음에도 정작 활력있는 노후생활을 지원하는 ‘고령친화도시’는 남부에만 위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부 자치단체들은 교통·주거환경 등 기반 시설의 전반적인 노후화와 예산 부족을 이유로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24일 경기도와 도내 일선 시·군에 따르면 초고령사회에 들어선 도내 시·군 6곳은 전부 고령친화도가 낮은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만 65세 이상 비율이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도시는 연천군(28.1%), 가평군(27.8%), 양평군(27.1%), 여주시(23.4%), 동두천시(21.5%), 포천시(21.3%) 등이다.

이런 가운데 효과적인 노후생활 대비를 위한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곳은 남부에 위치한 수원·용인특례시, 성남·안산·의왕·안양·하남·평택시 8곳뿐이다.

또 세계보건기구(WHO)가 고령친화도시로 인증한 수원특례시, 부천·성남·의왕시 4곳 역시 모두 남부에 위치해 있다.

고령친화도시는 노인들이 연령에 따른 변화에도 불편함 없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도시다. 노인들이 교통수단을 비롯해 주거환경·여가활동시설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적 지원을 하는 것이다.

문제는 고령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북부 자치단체들이 오히려 고령친화도시 조성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일례로 경기연구원은 지난 2020년 발표한 연구자료를 통해 가평군, 양평군, 포천시 순으로 노인여가복지시설 접근성이 낮다고 밝혔다. 이 지역의 노인들은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평균 19㎞ 떨어진 곳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북부 자치단체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고령친화도시 정책을 우선순위에서 미루기보다 의지를 갖고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북부지역은 단순히 인프라 노후화, 예산 부족을 이유로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외면하면 안 된다”며 “노인 복지가 도민 전체의 복지 증진이라는 관점의 전환을 통해 공적 지원을 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양평군 관계자는 “예산문제 등으로 아직 고령친화도시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없지만 노인 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손사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