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급증한 가운데 국민 2명 중 1명은 이번 사태가 인권에 영향을 끼쳤다는 반응을 보였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2만2천327명)보다 4만9천149명 증가한 7만1천476명이다. 주말이 지나면서 검사 건수가 늘어나 확진자도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22일(7만2천860명)과 비교하면 1천384명, 2주일 전인 15일(7만2천864명)보다는 1천388명 각각 감소한 수치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1일째 400명대인 491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1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9천832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가 전국 9천43가구(가구원 1만6천148명)를 대상으로 ‘2022년 인권의식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56.4%가 코로나19가 인권에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로는 영업 제한에 따른 소상공인·자영업자 재산권 침해(43.5%·복수 응답)가 꼽혔다. 뒤이어 돌봄 공백에 따른 취약계층 고립(43.5%), 백신접종 여부나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차별(28.2%) 순이었다.
인권침해를 당하거나 차별을 받는 대상으로는 ‘경제적 빈곤층’이 38.2%로 가장 많았다. 장애인(33.7%), 결혼 이주민·이주노동자(20.3%), 학력·학벌이 낮은 사람(16.6%)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미국 보건부와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보건 안보 협력의 강화를 논의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