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비행환경에 노출되기도 쉬운 ‘경계선 지능인(느린학습자)’을 보호하기 위해 지방정부가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29일 오산문화스포츠센터 다목적실에서 ‘느린학습자 지원 방안 모색과 인식 개선 관련 토론회’를 열고 토론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좌장인 김미정 도의원(더불어민주당·오산1)과 주제발표자인 이재경 한신대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비롯해 토론자로 나선 최승숙 강남대 교수와 민정숙 오산 느린학습자 함께우리 대표, 송연숙 느린학습자시민회 이사장과 김순본 도 평생교육과 평생교육사업팀장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 이재경 연구위원은 “느린학습자는 지능 지수(IQ)가 71~84 사이로 지적 장애에 해당하진 않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지 능력으로 인해 사회적응력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들을 말한다”며 “각종 범죄로부터 표적이 되기 쉬운 느린학습자를 위해 중앙정부가 관련 법안 등을 마련해야 하지만,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에 지방정부에서 먼저 지원 정책을 만들고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자체와 교육청 협력을 통해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학교 밖에서 가능한 교육까지 지원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느린학습자를 양육 중인 가족에 초점을 맞춘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송연숙 이사장은 “느린학습자의 고충과 어려움은 사회 문제라기보다, 개인의 문제로서 가정에서 해결되고 있다. 이 경우 각 가정마다 겪는 문제가 다르기에 적절한 지원이 이뤄지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며 “오산 등에서 관련 조례를 만들었으니, 이제는 느린학습자 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할 때”라고 힘줘 말했다.
민정숙 대표 역시 “느린학습자에 대한 부담을 대부분 가족들이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소외되지 않고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좌장을 맡은 김미정 의원은 “이날 나온 다양한 의견들이 느린학습자를 도울 수 있는 정책 마련으로 이어진다면 도는 느린학습자가 살기 좋은 지역으로 변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도의회도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임태환기자·이나경수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