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협상도 40분 만에 결렬... ‘업무개시명령’ 철강 등 확대 예고
화물연대 파업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정부와 노동계의 두 번째 대화가 소득 없이 종료됐다.
더욱이 정부는 운송종사자의 복귀를 강제화하는 업무개시명령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등 양측의 갈등은 커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는 30일 오후 2시께 정부세종청사에서 2차 면담을 진행했다.
그러나 양측은 입장차만 확인한 채 40분 만에 대화를 끝냈다. 정부는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되 품목 확대는 안 된다는 입장인 반면,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영구화하고 품목을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화물연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업무개시명령 대상인 시멘트 분야 2천500명의 운송종사자 중 350명에게 이러한 사안을 통보하기 시작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업무개시명령 분야를 철강·정유 등으로 늘릴 것을 시사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화물연대가 업무에 복귀하지 않는다면 안전운임제 완전 폐지까지 검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화물연대는 “정부는 진정성 있는 대화에 임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강해인·이정민기자
꽉 막힌 물류창고·동나는 재고… 산업계 피해 속출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산업계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안전운임제 일몰제 완전 폐지를 주장하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파업이 이날 7일 차에 진입했다.
이 기간 동안 운송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시멘트·석유화학 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하루 시멘트 수요는 성수기 기준 약 18만∼20만톤으로 현재는 평소 대비 약 10% 미만의 시멘트가 출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는 일일 180여억원의 피해를 보고 있으며 파업 일주일에 따른 누적 피해는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석유화학 업계 역시 지난 28일부터 운송에 차질을 빚으면서 일평균(7만4천톤)의 30% 수준의 해당 물품만을 내보내고 있다. 일평균 추정 피해액은 약 680억원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탱크로리 기사들이 파업에 대거 동참하면서 전국 21곳의 주유소가 기름을 보유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는 등 시민들의 실생활 피해도 현실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의 생동감도 사라진 실정이다.
지난 29일 하루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반출입량은 385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로, 파업 전 화요일 평균 반출입량인 4천322TEU의 9.1%에 불과했다. 통상적으로 의왕ICD는 휴일과 월요일의 반출입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화∼목요일은 4천TEU 중후반대의 많은 물량이 오간다. 전날은 화요일임에도 592TEU를 기록한 월요일에 비해 반출입량이 더 떨어진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인천신항 주변 약 2㎞ 구간에 길이 9㎝짜리 못 700여개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이 못이 화물연대의 운송 방해 행위와 연관성이 있는지 정확한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화물연대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날 오전 인천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송 방해나 보복 폭행이 이뤄질 경우 행위자와 배후자, 주동자까지 처벌되도록 엄정히 수사할 것”이라며 “현 70~80%의 가용인력을 상황에 따라 100%로 늘릴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를 관통하는 8호선 등의 운영주체인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안전인력 확대 등을 요구하며 이날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서울교통공사는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운행 횟수를 늘려 출퇴근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파업이 길어지면 시민 불편이 우려된다.
이정민기자·박귀빈수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