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다시 미세먼지 공습... 겨울철 시민 건강 위협이다

2~3년 전만 해도 인천시민들은 상시적으로 미세먼지 공습에 시달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기질이 좀 나아진 듯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다시 하늘이 뿌옇거나 호흡이 불편한 날이 늘고 있다. 엔데믹으로 전환하면서 산업·일상 활동이 늘어난 때문이다. 실제 대기 중 초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측정치도 줄곧 허용치를 넘어선다고 한다. 통상 겨울철에는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이 증가한다. 또 북서풍의 영향으로 중국발 먼지 유입도 늘어나 대기질을 악화시킨다.

인천의 올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9㎍/㎥에 이른다. 환경부가 정한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은 15㎍/㎥다. 올해 들어 인천에서는 6·8·9월을 제외하고는 계속 환경기준치를 웃돌았다. 1월에는 28㎍/㎥로 초미세먼지가 가장 심했다. 지자체는 환경부 지침에 따라 대기오염이 기준치를 초과해 주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대기오염 경보를 발령한다. 올해 인천에서는 거의 매월 초미세먼지 경보가 울린 셈이다.

미세먼지(PM10) 또한 증가 추세다. 지난 2018년 40㎍/㎥, 2019년 43㎍/㎥, 2020년 34㎍/㎥, 지난해 39㎍/㎥ 등으로 코로나 확산 이전으로 회귀하는 추세다. 최근의 미세먼지 측정치를 보면, 지난달 30㎍/㎥로, 지난해 같은 달(28㎍/㎥)보다 오히려 늘고 있다. 이런데도 인천시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업들은 지지부진하다. 인천시는 64억8천만원을 들여 올해 안에 검단일반산업단지의 아스콘 제조업체 11곳을 선정, 대기 개선 지원을 하려 했다. 그러나 서류 검토 등이 늦어져 현재 지원을 확정한 업체는 3곳뿐이다. 21개 주유소에 대한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보조금 지원도 판매 감소 등으로 5곳에 그쳤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의 특수 경유 차량은 매연 등 미세먼지 유발이 심하다. 이들 차량의 친환경 전기차 전환도 실적이 거의 없다고 한다.

인천시는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제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통해 분야별 저감사업에 들어간다. 지역 내 대형 발전·정유사 10곳과 미세먼지 배출 할당량을 5% 이상 감축하는 자율협약을 맺는 등이다. 그러나 임시방편의 대증요법으로 보인다. 한 도시의 대기질 개선은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끈기있게 밀고 나가야 가능하다. 쉽사리 가시적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해서 소홀히 하면 환경재앙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일이다. 이제라도 대기질 개선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분명히 해야 한다. 독감 등 트윈 또는 트리플데믹 경고등까지 켜진 가운데 올겨울 시민들 건강과 안전이 걱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