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국제공항이 경제자유구역의 촉진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김한용 항공정책포럼 전문위원은 6일 ‘경기국제공항 유치 시민협의회’가 호텔리츠(수원특례시 팔달구 인계동)에서 주최한 워크숍 및 임시총회를 통해 해당시설과 경기도경제자유구역 간 시너지 효과를 강조했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 유치 등을 위해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주어지는 곳을 의미한다. 경기도내에선 평택포승지구, 현덕지구, 시흥배곧지구 등으로 구성된 경기도경제자유구역이 존재하며 원활한 해운 운송을 위해 바다를 끼고 있다.
수원군공항 이전에 따라 경기국제공항이 경기 남부지역으로 선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경기도경제자유구역의 기업들이 해당 시설을 통한 항공 운송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김 전문위원의 설명이다. 특히 경기 남부지역은 반도체 산업의 집약체인데다 바이오 산업도 최근 이곳에서 급부상하기에 기존 해운 운송에다 항공 운송까지 더해지면 경기도경제자유구역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경기국제공항 건설에 따른 교통 인프라 확충도 내다봤다. 일례로 지난해 2월 정부가 건설을 선언한 가덕도신공항(부산광역시 강서구)의 경우 관련 지자체는 부산신항~김해간 고속도로 가덕신공항 연장, 창원 신산업선 등 도로와 철도 인프라 확충을 건의하고 있다. 또 경북 군위·의성군으로 이전이 확정된 대구통합신공항 인근지역 역시 도청~신공항 간선도로와 같은 도로 사업이 추진되는 등 공항 건설에 따른 교통망 확충은 자명하다는 게 김 전문위원 설명이다.
김 전문위원은 “현재 경기국제공항 건설로 갈등이 있기에 해당 시설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이전 대상지에 대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보장하는 한편, 관련 지자체는 상호 지속적인 대화로 갈등 요소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국제공항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 예산(2억원)은 국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9월 국토부는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안에 ‘경기남부 민간공항’을 명시한 채 이를 발표한 바 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