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반도체가 유럽·미국·일본·중국 등 전 세계적인 공세를 받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김동연표 ‘반도체 메카’의 밑그림을 그리며 선도화에 나섰다.
민선 8기 경기도가 반도체 인프라 및 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내년도 예산에 반영하고, 연차별 계획을 수립하면서 ‘대한민국 반도체의 중심’을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김 지사가 취임 후 줄곧 강조한 ‘반도체 산업 글로벌 첨단 육성’ 공약 추진을 위한 각종 사업 계획을 연달아 수립했다.
우선 도는 ‘반도체 인프라 및 인력 양성’에 총사업비 649억원(국비 70%·도비 24%·민간 6%)을 투입할 예정이다. 인프라 구축 606억원(테스트베드 기반구축 416억원, 기술 개발 190억원)과 인력 및 일자리 플랫폼 구축 43억원이 이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도는 내년도 본예산(270억9천만원) 반영을 추진 중이며 2024년 172억9천만원, 2025년 45억5천만원 등의 연차별 집행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도는 그간 열악했던 시스템반도체·테스트베드 인프라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올해부터 3년간 순차적으로 24종의 반도체 장비를 도입하고, 3천966㎡(1천200평) 규모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자동차연구동을 반도체 공정실·분석실로 리모델링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도는 도내 시·군과의 협력사업을 비롯해 초광역적 지원에도 소매를 걷어붙였다. 안성시에 반도체 특화단지 및 전문인력 양선센터를 구축, 용인·이천·평택시의 기업들과 연계된 사업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여기에 충남과 맞손을 잡은 ‘베이밸리 메가시티’ 사업은 도를 4차 산업 거점으로 변모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반도체 소재부품 연구지원’에 총사업비 300억원(도비 100%) 지원 계획도 세운 상태다. 오는 2025년까지 매년 100억원 범위에서 설비지원과 기술교류회 개최, 특허 전략분석 수행과 연계협력사업 등으로 도내 반도체 중소기업의 제품개발 지연과 인력난 해소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도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반도체가 세계적인 경제 안보의 핵심 분야로 꼽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 시장이 약 6천억달러 규모를 달성했고, 우리나라의 경우 총수출 중 19.9%(1위)를 반도체 산업이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 관계자는 “아직 공약 정리 중에 있어 확정된 사안은 아니지만, 관계 부처에서 세밀한 사업을 계획 중”이라며 “김 지사가 미래먹거리에 관심이 많은 만큼 도 역시 지원 역량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손사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