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AI 등 대응시스템 도입 불구 대규모 조직화·지능화에 ‘역부족’ 협업도 어려워... 제도적 보완 필요
② 정부 예방책 시급
보험사기 적발 금액이 1조원에 육박하면서 업계가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사기 방식의 고도화·다양화로 이마저도 역부족이어서 정부 차원의 예방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업계는 최근 보험사기 예방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웹 크롤링(정보 자원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집하고 분류해 저장하는 것) 등을 활용한 보험사기 예측시스템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늘어나는 보험사기를 예방하고자 지난해부터 자동차보험사기 사전인지시스템(Hi-FDS), 사회연결망분석시스템(SNA), 한방의료기관 불법행위 탐지시스템 등 3가지의 보험사기 대응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대해상은 지난해 Hi-FDS와 SNA를 통해 540건(33억2천만원)의 불법행위를 적발했고, 한방의료기관 불법행위 탐지시스템으로는 30개 한방의료기관에 대해 4억1천만원의 반환 조치를 완료했다.
DB손해보험은 올해 1월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험사기 공모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보험사기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인 ‘DB T-System(DB Total Analysis System)’ 운영을 시작했다.
앞서 보험사기 혐의자 개인에 대한 분석이 위주였던 IFDS(Insuranace Fraud Detection System)를 운영 중이었으나, 보험사기가 대규모 조직화·지능화되면서 혐의자 간의 공모관계 분석에 초점을 맞췄다.
삼성화재는 지난해 9월 보험범죄 사전 예방을 위한 모럴징후분석 시스템, IFDS(Insurance Fraud Detection System)를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병원의 과잉진료와 SNS를 통해 보험사기 가담자를 모집하는 등 복잡해지고 조직적으로 변모하는 보험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보험업계는 최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등 보험사기 예방에 힘쓰고 있지만, 적발 금액이 1조원에 달하는 보험사기를 모두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토로한다.
보험사기는 일상생활을 아우르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고, 보험업계가 직접 수사에 나서는 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 현 제도상 업계 간의 협업조차 쉽지 않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많은 보험사들이 보험사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며 “업계의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예방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손해보험협회 중부지사 관계자는 “보험사기의 경우 여러 보험사 등에 가입한 뒤 범죄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으나, 개인정보 보호법 등으로 인해 보험사기가 발생해도 업계 간 협업이 어렵다”며 “보험사기를 줄이기 위해선 이런 부분의 제도적 보완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진기자·이다빈수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