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올해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최근 10년 동안 가장 낮은 목표치의 19%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통한 투자 유치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올해 1~11월 IFEZ 내 FDI 누적 신고액은 1억1천930만달러(1천556억원)로 집계했다. 이는 당초 FDI 목표액인 6억달러(7천950억원)의 19%에 불과한 수치다. 인천경제청의 이 같은 올해 FDI 성적표는 지난 2013년부터 1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치다.
지구별로는 영종국제도시가 전체 IFEZ FDI 중 가장 높은 5천300만달러(691억6천만원)를 기록했고, 이어 청라국제도시가 3천520만달러(459억3천만원), 송도국제도시가 3천110만달러(405억8천만원) 순이다. 올해 인천경제청과 신규 계약을 한 대표적인 외국 자본 기업은 ㈜코스트코코리아와의 900억원, 싸토리우스코리아 오퍼레이션스의 3천600억원으로 단 2건이다.
인천경제청은 이 같은 FDI 저조 현상은 송도국제도시 내 외국인 자본의 투자 유치가 가능한 유효 토지가 줄어드는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청라국제도시와 영종국제도시의 경우 각각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도시공사(iH) 등이 투자유치와 토지매각을 맡고 있지만, 송도국제도시는 인천경제청이 투자유치 및 토지매각을 모두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송도국제도시에 투자유치가 가능한 산업용지는 약 6%에 불과하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FDI를 유치할 대표적 방법이 토지매각”이라며 “하지만 송도국제도시에는 투자를 유치할 산업용지가 거의 없다”고 했다.
앞서 최근 5년 동안 전체 FDI 유치 중 송도국제도시는 70~90%까지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FDI 총액인 7억3천800만달러(9천778억원) 중 송도국제도시가 5억2천300만달러(6천929억원)로 70%를 차지했고, 2019년에는 9억600만달러(1조2천4억원) 중 8억2천400만달러(1조918억원)로 90.9%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인천시의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뉴홍콩 시티 사업과 연계, 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해 투자 유치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연구원 김수한 글로벌도시연구단장은 “강화 남단과 내항 등 IFEZ 확대를 통해 투자유치가 가능한 토지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고 했다. 이어 “종전 토지 매각 방식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앞으로 앵커기업이 혁신성장을 이뤄내도록 도와 매출 상승을 통한 추가 FDI 유치해야 한다”고 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내년 투자유치 계획을 세우기 앞서 산업용지 확보를 위한 용도변경 등을 검토 중”이라며 “영종·청라 토지주인 LH 및 iH와 투자협력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달러 강세 등 열악한 경제 속에서 최대한 12월 말까지 목표치에 가까워 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