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인프라 道 남부권 집중… 경기북부 ‘지원 사각’

도내 시·군 사업체 수 톱10 중... 화성·성남·부천시 順 상위권
북부권은 고양·파주 달랑 2곳... 균형 발전책 마련 ‘발등의 불’

“선진적인 연구·개발을 하려면 전문 지식이 있는 연구원 확보가 절실한데, 경기북부로 모셔오기가 쉽지 않죠.”

파주에서 연구용 실험기기를 제작·판매하는 박수나 셀라바이오메디텍 대표(46)는 바이오 산업에 몸 담고 있는 일환으로서 한 가지 아쉬움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그는 “북부지역 특성상 젊은 인력을 여럿 유인할 수 있는 바이오 인프라가 부족한 것 같다”면서 “지자체나 기관 차원에서 북부에 특화된 지원책을 마련해준다면 지역이 한층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경기도의 바이오산업 인프라 10개 중 7개가 남부권에 집중, 지역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당 산업이 인구 고령화 추세에 맞춰 점차 각광받을 것으로 보이면서 남북부 균형 발전책이 동반 모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8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경기도 바이오산업 육성 종합계획(2020~2024)’ 자료에 따르면 도내 바이오산업 관련 사업체 수는 총 1만7천77개로 집계됐다.

이 중 1만2천664개(73.8%)가 경기남부권에 밀집된 상황이다.

사업체 수가 많은 상위 10개 시·군을 살펴봐도 화성시>성남시>부천시 등이 1~3위를 차지했다. 북부권에서는 고양시(6위), 파주시(10위) 두 곳만 이름을 올렸다.

건강 의료기기나 의약품처럼 바이오 산업과 관련된 도내 생명과학 부설연구소도 경기남부엔 1만1천426개가 위치한 반면, 경기북부엔 1천380개만 있을 뿐이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바이오 관련 인프라가 남부에 집중됐다 보니 북부는 사실상 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것과 다름 없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바이오 시장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텐데, 성장 가능성 및 고용효과 등을 고려했을 때 조속히 북부 특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올 수밖에 없다.

고은정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고양10)은 “경기도의 바이오산업은 전반적으로 남부에 몰려 있어 지역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북부에 준비된 인프라를 활용해 남·북부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예산과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기도는 아직 북부지역의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마땅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으나, 내년에는 관련 계획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바이오산업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지만 내년 중 계획을 체계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7년 기준 경기도의 바이오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는 각각 전국의 21.5%, 29.5% 비중으로 1위 규모다.

이은진기자·오민주수습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