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춘식 “명지병원 DMAT, 신현영 의원 탑승사실 보고 누락”

image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포천·가평)은 27일 명지병원 DMAT(재난의료지원팀)이 이태원 참사사고가 발생한 직후인 지난 10월 30일 0시 51분 현장으로 출발하면서 더불어민민주당 신현영 의원과 배우자를 태운 사실을 ‘중앙응급의료센터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 의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조사 및 확인한 결과, 명지병원 DMAT은 10월 30일 0시 44분 상황실 측에 ‘의사 A, 응급구조사 B, 간호사 C 등 3명이 출동한다’고 모바일 상황실에 보고했다. 출발은 오전 0시 51분에 이뤄졌다.

 

신 의원은 앞서 0시 35분 명지병원 응급실에 전화를 걸어 ‘나도 같이 가기로 했으니 데리고 가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 의원실이 입수한 명지병원 DMAT의 ‘모바일 상황실 보고내역서’를 보면, 명지병원 측은 새벽 1시 상황실 측에 재차 ‘의사 A, 응급구조사 B, 간호사 C 등 3명의 도착예정시간 1시30분’이라고 보고하면서, 이태원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신 의원과 배우자가 함께 탑승한 사실’은 보고하지 않았다.

 

또한 명지병원 DMAT는 ‘1시 45분 이태원역 현장에 도착완료했다’라는 사실만 상황실에 보고하고, 신 의원과 배우자의 닥터카 탑승사실은 끝내 상황실 측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명지병원 DMAT의 '모바일 상황실' 보고내역. 최춘식의원실 제공

 

현행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에 따르면, DMAT은 출동시 ‘출동인력 현황을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보고’해야 한다. 3~4명의 의료진이 한 팀으로 구성되는 DMAT은 대형환자가 발생하는 재난 상황에 투입돼, 응급처치와 중증·경증 환자 분류, 환자 이송 등의 역할을 한다.

 

최 의원은 “(명지병원) 닥터카가 (신 의원과 배우자를 태우기 위해) 이대역을 경유함에 따라 의료진들의 이태원 현장 도착 시간이 늦어지게 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 “보건복지부가 확실히 조사해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