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경기도 예산의 4배 달해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가 내년 경기도 예산의 4배에 달하는 120조8천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주택도시공사가 7월부터 4개월간 제1·2판교테크노밸리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제1·2 판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약 120조8천억원이며 제1판교가 119조7천억원으로 전체의 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매출 109조9천억원과 비교했을 때 10% 상승한 수준이다.
특히 생명공학기술(BT) 업종의 경우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영향으로 전년도 9조3천억원 대비 59% 상승한 14조8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판교테크노밸리의 입주기업은 1천642개이며, 이 중 중소기업이 87%, 중견기업 7.4%, 대기업 4.2%를 차지했다.
제1판교는 중소기업 84.4%, 중견기업 9.3%, 대기업 5.3%로 지난해 중소기업 85.5%, 중견기업 7.5%, 대기엄 4.8%와 비교했을 때 중소기업은 감소하고 중견기업·대기업의 비중은 증가했다.
제2판교는 전체 365개 기업 중 중소기업이 전체 기업의 96.5%를 차지했다.
특히 정보기술(IT) 66.8%, 생명공학기술(BT) 14.4%, 문화콘텐츠기술(CT) 10%, 나노기술(NT) 1.1% 등 첨단업종이 전체 업종의 91.2%에 해당했으며, 상시 근무하는 노동자 수는 7만3천443명으로 전년 7만1천967명 대비 2.0% 증가했다.
주요 연령대는 30~40대가 4만9천653명으로 67.6%를 차지했다. 판교테크노밸리 직원 중 연구인력은 36.2%(2만6천606명), 여성인력은 28.9%(2만1천290명), 신규인력은 17.8%(1만3천103명)으로 모두 전년도 대비 증가(여성인력 1.2%, 연구인력 1.6%, 신규인력 1.6%)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단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현대 도 미래성장정책관은 “제1·2판교테크노밸리가 서로 연계해 입주기업들에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제1·2판교테크노밸리를 운영하고 입주기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