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월급여 200만원도 못 미쳐... 임시·일용직 고용 형태 불안 생계비 증가·자녀교육 부실 우려... 다문화가정 위한 박람회도 ‘전무’ 市 “취업박람회 등 활성화할 것”
인천지역 다문화가정 2명 중 1명 이상의 월급여가 200만원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득이 낮은 이들 가정의 생계비 지원을 위한 사회적 비용 증가와 이들 자녀의 교육 부실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여성가족재단은 ‘인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발전방안’ 조사 결과 인천 다문화가정인 결혼이민자·귀화자 256명 중 56%인 143명의 월급여가 200만원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인천의 결혼이민자·귀화자는 2만8천91명이며 배우자·자녀를 포함하면 8만명에 이른다.
이들의 구간별 월급여는 100만~150만원 62명(24.2%), 150만~200만원 44명(17.2%), 50만~100만원 28명(10.9%), 50만원 미만 11명(4.3%) 등의 순이다. 200만~250만원은 72명(28.1%)이며, 250만원 이상은 38명(15.2%)에 불과하다. 한국인 평균 월급여 344만원에는 크게 못 미친다.
이들의 낮은 월급여는 임시직 등 처우가 열악한 고용 형태가 원인으로 꼽힌다.
조사 대상 중 임시근로자(72명·28.1%)와 일용근로자(51명·19.1%)는 절반에 가까운 123명(47.2%)에 이른다.임시·일용근로자는 퇴직금과 상여금 등 각종 수당을 받지 못한다. 반면 고용계약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는 79명(30.9%) 수준이다.
중국에서 온 귀화자 정채운씨(36)는 “중국에서 컴퓨터 관련 사무직을 한 경력이 있지만, 한국에서는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당장 최저임금을 받는 간단한 일밖에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육아 등으로 생활비가 필요하지만 월급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또 다른 중국인 귀화자 최영씨(38)도 “중국에서 무역 회사에서 관련 경력을 쌓았지만 외국에서 왔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무역 회사에 취직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귀화자 등이 차별받지 않고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에 사회적 비용 지출 증가와 자녀 교육 환경 악화 등의 문제도 함께 커질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정호 인천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국적을 취득한 귀화자 등의 소득이 줄수록 기초생활수급자 등의 비중이 늘어 생계비 지원 등 지자체의 세금 지출 및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자녀 교육비 부족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지 못해 대학교 입학 및 고소득 직장 취업 등이 어려운 악순환의 우려도 있다”고 했다.
이같은 상황이지만 인천에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박람회가 전무할 뿐만 아니라, 취업지원제도도 관련기관들이 공고를 보내주는 등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결혼이민자 취업박람회’를 14회째 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다문화가정의 소득 수준이 높아져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며 “양질의 일자리를 연계할 수 있도록 취업박람회 및 취업지원센터를 통한 상담·지원 등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