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필수업무종사자 70% “고용불안 시달려”

市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요양보호사 등 복지시설 종사자... 소득 보전 등 지원 대책 필요 지적

인천지역 필수업무종사자 10명 중 7명은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지역 필수업무종사자 대부분이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서는 사회적 재난 발생에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필수업무종사자에 대한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인천시가 발표한 ‘인천광역시 필수업무 종사자 범위설정 및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의 필수업무종사자는 총 20만157명에 달한다. 이 중 약 70%에 해당하는 종사자들은 고용 불안에 시달린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일감이 많이 줄거나, 경제적 기복이 발생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필수업무종사자는 사회적 재난이 발생할 때 시민의 생명과 신체의 보호, 사회의 필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들이다.

 

특히 인천의 필수업무종사자 중 가장 많은 분야는 장애인활동지원사와 요양보호사 등 복지시설 종사자이다. 이들은 전체의 23%인 4만6천752명에 달한다. 이어 간호사와 의사등 병원이 2만9천516명(14.7%), 육상 여객 및 운송업 1만4천578명(7.2%)순이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 지자체의 재난 대응 지원과 소득 보전, 노동 조건 향상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이들은 휴식공간 및 휴식권 보장과 심리상담센터 확충과 심리치료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 인천의 필수업무사업체는 총 3만4천195개로, 이들 중 도로 화물 운송업이 1만4천731개(43.07%)로 가장 많았다.

 

반면 전체 필수업무사업체 중 인천시 필수업무 사업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업종은 항공 여객 운송업(26.1%)과 기타 항공운송지원서비스업(19.8%), 항구 및 기타 해사 터미널 운영업(16.3%) 등이다. 이는 인천이 항공과 항만을 배후로 두고 있는 탓이다.

 

시는 이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필수업무종사자에 대한 지원 대책을 담은 종합 계획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필수업무종사자에 대한 1번째 실태조사”라며 “전반적인 필수업무종사자의 실태를 파악한 뒤, 곧 지원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재난에 따른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업무종사자’에 대한 지원과 실태조사 의무를 담은 ‘필수업무 지정 및 종사자 보호·지원에 관한 법률’을 마련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