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볶음밥, 한끼 식사로 영양성분 부족하고 나트륨 많아

image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냉동볶음밥이 한 끼 식사로는 영양성분이 부족하고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냉동볶음밥 25개(고기볶음밥 10개·새우볶음밥 8개·닭가슴살볶음밥 7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또 제품에 따라 고기나 야채 등의 재료 함량이 차이가 있고, 영양성분과 조리법 등에 대한 표시 개선 필요한 제품도 있었다.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냉동볶음밥 제품의 1인분 열량은 한 끼 식사의 영양성분 기준(667kcal)의 약 33~76%, 탄수화물(31~92%), 단백질(44~112%), 지방(17~82%) 등 주요 영양성분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낮았다.

 

1인분당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천일식품 소불고기볶음밥Ⅱ(510kcal·99g)이 가장 높았고, 대상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219kcal·33g)이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허닭의 닭가슴살 야채곤약볶음밥(20.1g)이 가장 많고 오뚜기 맛있는 새우볶음밥(7.9g)이 가장 적었다. 지방 함량은 하림 원물식감 닭가슴살볶음밥(14.8g)이 가장 많았다.

 

제품별 나트륨 함량은 1일 영양성분 1인분 기준치(667㎎)의 66~242%로 높았다.

 

쿠팡의 PB 자회사 씨피엘비의 곰곰 소불고기볶음밥(1천615mg)의 나트륨 함량이 한 끼 기준치의 242%로 가장 높았고 대상의 라이틀리 닭가슴살 곤약볶음밥(440mg)이 가장 낮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씨피엘비는 앞으로 나트륨 함량을 낮추겠다고 알려왔다”면서 “냉동볶음밥으로 식사를 할 경우 부족한 영양성분은 다른 식품으로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속 나트륨 배출을 위해 칼륨 함량이 많은 과채류를 함께 섭취해야 한다” 설명했다.

 

또 냉동볶음밥에 포함된 고기와 새우, 닭가슴살 등의 내용물 양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원재료 종류, 함량, 1인분 중량이 제품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1인분 중량은 200~300g(평균 232g)으로 제품 간 최대 1.5배 차이가 났다. 그중에서도 고기, 새우, 닭가슴살 재료는 3.4~36.6g(평균 18.2g), 당근, 양파 등 식물성 재료는 제품별로 4~8종이 첨가돼 7.4~41.3g(평균 26.1g)으로 차이가 큰 편이었다.

 

3개 제품의 경우, 포화지방 및 단백질 함량, 나트륨 함량이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제조업체에 시정을 권고했으며 해당 업체들은 모두 영양성분 함량 표시를 개선하기로 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2017년 825억원이었던 국내 냉동볶음밥 시장 규모가 2020년 1천91억 원 규모로 증가, 소비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진행했다”며 “제품 선택 시 영양성분 함량과 재료 구성, 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