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가 해낼 수 없는 지방정부만의 정책 성과를 작은 부분부터 차근차근 협력을 통해 이뤄내겠습니다.”
17일 오전 11시께 ‘경기도와 전라북도 상생발전 업무협약’이 진행된 전라북도청 중회의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새해 벽두부터 지역 상생발전을 위해 눈이 채 녹지도 않은 전라북도청사까지 190㎞의 빙판길을 한걸음에 달려왔다.
김동연 지사와 김관영 전북도지사를 비롯한 관계자 15여명은 회의실을 채운 뒤 본격적으로 업무협약 내용을 검토했다. 이는 김 지사 취임 이후 충청남도와 전라남도에 이어 광역자치단체와 맺는 세 번째 상생 협약이다.
이날 김 지사는 지역 소멸 위기가 깊어지는 시점에 초광역 생활·경제권을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가 경제 뿐 아니라 기후 위기 등에 대처하는 모습에 소극적인 부분이 있다고 비판하며, 이럴 때일수록 지방정부 간 협력으로 대한민국의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나 기후변화 문제 등 일부 주제들에 있어 중앙부처의 대처가 소극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광역자치단체 간의 협조를 통해 중앙정부의 소극적인 정책을 견인하는 효과도 있다고 생각해 적극적으로 협력관계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날은 전라북도와 경기도가 상생발전 협약을 하면서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는 아주 기쁜 날”이라며 “상생협약을 통해 창업과 벤처에서의 협력,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포함한 기후변화에 대한 협력 등 작은 것부터 협력해서 성과를 내는 길을 닦고 싶다”고 목청을 높였다.
업무협약 내용에 대해 진중한 논의를 이어가던 두 지사는 협력관계를 확대해나가겠다는 공통의견을 토대로 가벼운 농담을 주고받기도 했다.
전북의 업무 제안을 하나하나 경청하던 김 지사는 “날씨가 풀리는 대로 김관영 지사가 경기도에 오면 1일 명예 도지사로서 지역 현안에 대한 부분을 처리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하며 활짝 웃었다. 이에 김관영 전북도지사 역시 “그동안 골치 아팠던 지역 현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김관영 지사는 전북의 특별자치도 출범 과정을 돌아보며 김 지사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해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이날 협약을 대단히 뜻깊게 생각하고 앞으로 경기도의 장점과 전라북도의 장점이 잘 결합돼 대한민국 전체를 바꿀 수 있는 조그마한 모티브(동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면 진정한 지방분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한 것이다.
김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와 관련해 전북과 협력할 부분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이날 ‘경기·전북 상생발전 합의문’을 통해 합의된 사항은 ▲창업·벤처 분야 교류 활성화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협력 ▲재생에너지, 수소산업 상호 협력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성공개최 노력 ▲청소년 소통·교류 확대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공급 확대 ▲지역 농특산물 온라인 상호 입점 및 상생장터 운영 ▲수산물 검사 공동수행 및 상호 정보교류 등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