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정한다.
시는 오는 9월까지 인천의 인구정책 목표를 마련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2024~2028 인천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인구 증감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구구조의 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또 자연적·사회적·구조적 요인 등 다양한 방면을 통해 인구이동의 특성도 살필 계획이다.
또 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구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 특성이 담긴 정책도 마련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간의 인구 불균형이 심화한 것에 대한 대응과 지역별 인구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도 발굴한다. 시는 단순히 인구 수 차이에 따른 균형 발전이 아닌 유소년과 고령인구, 생산가능인구를 바탕으로 한 연령 구조 차이와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등 세대 구조, 농업과 제조업, 서비스업 등 산업구조 등의 요인을 두루 담을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지역인구의 균형적 증대를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지역별 인구특성을 고려한 제도와 여건 조성하기 위해 ‘인천시 인구정책 기본 조례’를 마련했다.
이 밖에 시는 타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인구정책을 비교하고, 저출생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인구정책에 연계할 수 있는 인구정책 마스터플랜도 그릴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저출생·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활용 방안도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