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저출생·고령화 맞춤형 정책 수립…2028 인구정책 종합계획 추진

인천시가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정책 방향을 수립한다. 사진은 인천시청 모습.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정한다.

 

시는 오는 9월까지 인천의 인구정책 목표를 마련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2024~2028 인천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인구 증감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구구조의 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또 자연적·사회적·구조적 요인 등 다양한 방면을 통해 인구이동의 특성도 살필 계획이다.

 

또 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구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 특성이 담긴 정책도 마련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간의 인구 불균형이 심화한 것에 대한 대응과 지역별 인구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도 발굴한다. 시는 단순히 인구 수 차이에 따른 균형 발전이 아닌 유소년과 고령인구, 생산가능인구를 바탕으로 한 연령 구조 차이와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등 세대 구조, 농업과 제조업, 서비스업 등 산업구조 등의 요인을 두루 담을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지역인구의 균형적 증대를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지역별 인구특성을 고려한 제도와 여건 조성하기 위해 ‘인천시 인구정책 기본 조례’를 마련했다.

 

이 밖에 시는 타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인구정책을 비교하고, 저출생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인구정책에 연계할 수 있는 인구정책 마스터플랜도 그릴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저출생·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활용 방안도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