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지자체 주도 관리 및 지원 절실”
인천지역의 중소 제조업체 대부분이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지역 중소 제조업체 301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2050 탄소중립 대응 계획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계획을 세우지 않은 곳은 92.7%(276곳)에 이른다. 현재 탄소중립을 위한 사업 계획을 세운 곳은 1%에 불과하다.
이 같이 제조업체들이 탄소중립 대응 계획을 세우지 않은 이유와 관련, 절반에 가까운 제조업체들(44.6%)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는 이유를 내놨다. 이외에도 ‘자금 및 인력 부족’ 14.5%, ‘검증된 기술이나 설비 부재’ 7.2% 등 순이다.
특히 이들 제조업체는 정부의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에 단 1곳도 참여하고 있지 않다. 현재 자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관리하고 있는 곳은 1.3%에 그친다.
이들 제조업체는 비용 증가 등 문제로 탄소중립 등 환경 개선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조업체는 탄소중립 등의 활동을 했을 때 ‘비용 부담 증가’(38.9%)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칠 것으로 봤다. 이 밖에도 ‘거래처의 환경관련 인증 요구에 따른 부담 증가’(26.2%), ‘제품 경쟁력 악화로 인한 매출 감소’(8%) 등 부정적인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인천연구원은 지자체가 주도해 영세한 중소 제조업체가 탄소중립 등을 할 수 있는 각종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연구원은 지자체가 정부와 연계해 지역 차원의 통합 지원 시스템을 구축, 탄소중립 대응 매뉴얼 제작과 탄소중립 비즈니스 모델 마련 등을 제시했다. 또 설비 교체·공정 개선 등 제조업체의 경제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사업비 지원 등의 방안도 내놨다.
한준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이 중앙정부 관리 영역이더라도 소외받는 분야가 많아 지자체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아직 탄소중립에 대한 제조업체들의 인식이 부족하다”며 “올해부터 컨설팅 지원 등을 담은 로드맵을 세워 제조업체들의 탄소중립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