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대부분이 매출 급감에 난방비 폭탄까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3일간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국내 소상공인 1천811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참여 업종은 도·소매업, 외식업,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등이다.
설문 결과, '사업장 운영에 있어 난방비용이 부담된다'고 답한 응답자가 9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체 응답자 35.7%를 차지하는 수도권 소상공인들 80.7%가 '난방비가 매우 부담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소상공인들이 난방비와 관련 곡소리를 토해내는 이유는 최근 경기 악화로 매출이 반토막난데다, 난방비가 최대 2배까지 급등했기 때문이다.
실제 전년 동월 대비 이달 사업체 매출 변동 상황을 조사한 결과 반토막 이상 감소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50% 감소' 23.9%, '10~30%감소' 24.3% 등 순이었다.
난방비의 경우 10명 중 4명꼴(40.2%)이 '10~30%' 올랐다고 답했고, 이어 '30~50% 상승'이 31.3%, '50~70% 상승'이 10.4% 등으로 조사됐다. '2배 이상' 올랐다는 답변도 6.4%로 나왔다.
삼계탕집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A씨는 “작년 같은 달 대비 LPG 요금이 66.7~100% 올랐다”며 “임대료, 이자, 원재료비가 올라가는 상황에서 가스비와 전기료가 오르며 고정비 부담이 극심하다”고 호소했다.
삼겹살집 사장 B씨는 “도시가스 요금이 전월 대비 60%나 뛰었다”며 “단기간 급격하게 상승한 난방비로 체감상 부담이 매우 크다. 요금 보조 방안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 속 소상공인들은 생존권 보호를 위해 난방비 급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장 필요한 지원에 대해선 절반을 넘는 51.7%가 '난방비 요금 할인'이라고 답했고, 다음은 긴급 에너지 바우처 지원(35.7%)이 뒤를 이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에게 에너지 바우처 제공, 요금 할인 등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해당 법령에 소상공인이 포함되지 않아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소상공인 생존권 보호를 위해 에너지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를 법제화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