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에 중앙통합방위회의 주재 “확고한 총력안보태세”강조 -김동연 지사·유정복 시장,우종수 경기남부청장·이문수 경기북부청장 등 참석
윤석열 대통령은 8일 “점차 다양해지는 북한의 도발 유형에 맞춰 통합방위태세에 빈틈이 없는지 점검하고 정부의 비상대비체계를 정비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중앙통합방위회의는 2016년 이후 7년 만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게 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한 주요 직위자와 관련 분야 민간전문가 등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56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하고 “민간과 정부, 군·경 모두가 하나 된 힘으로 뭉쳐 확고한 총력안보태세를 확립하고, 유사시 국민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이같이 강조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적 침투·도발 등 국가안보 위협상황에 대비, 민·관·군·경의 주요 직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가통합방위태세를 점검하고 발전대책을 논의하는 회의다. 북한의 잦은 침투·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된 1968년 ‘비상치안회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이후 안보상황 등을 고려해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주관으로 개최됐다. 다만, 2017년부터는 국무총리 주관으로만 개최됐으며, 최근 3년간은 서면보고나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2017년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국무총리가 주재했다.
올해 제56차 회의는 최근 북한이 우리를 ‘명백한 적’으로 규정하고 핵 선제공격 의지를 노골적으로 과시하는 한편, 무인기·테러·사이버 공격 등으로 국민생활안전 위협이 점증하는 등 엄중한 안보상황에서, 대통령을 중심으로 민·관·군·경이 하나 된 국가총력안보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에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게 됐다.
이날 회의는 국민의례, 기관표창, 대통령 모두발언, 기관발표, 주제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회의에 앞서 윤 대통령은 제주도청, 육군 35·56사단, 전북경찰청, 고리원자력본부 등 5개 기관에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으며 국가방위요소의 효율적 운영과 통합방위태세 확립에 기여한 공로를 치하했다.
이어 국가정보원이 현재 안보정세를 설명하고, 통합방위본부에서 군사대비태세 및 통합방위태세의 추진성과와 올해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어진 주제토론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고강도 도발 대비 대응역량 강화 및 국민보호 대책, 테러·사이버 위협 대비태세 및 역량 강화방안을 주제로 참석자들간 심층토의가 이뤄졌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김동연 경기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우종수 경기남부경찰청장, 이문수 경기북부경찰청장 등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정원, 각 군, 경찰청, 해양경찰청, 소방청 등의 주요 직위자와 관련 분야 민간전문가 등 160여명이 참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