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상공인공동배송센터, 4월 운영 시작… 안정적 사업구조가 성공 핵심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 소상공인공동배송센터가 오는 4월부터 본격 운영에 나선다. 하지만 공동배송센터가 지속가능하려면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3억2천800만원을 들여 소상공인의 물품을 당일 배송할 수 있는 공동배송센터를 구축, 4월부터 운영에 나설 방침이다. 현재 시는 소상공인 비율이 높은 남동구와 서구 등을 중심으로 공동배송센터를 운영할 공간을 찾고 있다. 

 

시는 이를 통해 지역의 소상공인이 대형 물류 센터를 통하지 않고, 시가 운영하는 공동배송센터를 통해 ‘당일 배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다음달 공동배송센터 공간을 정하고, 시설 공사를 할 예정이다. 

 

그러나 시 자체적인 배송 사업이 성공할 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물류산업의 특성상 초기 투입 비용을 충분히 확보해야 수익 향상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규모 자본을 가진 대기업들이 물류 및 유통 기업으로 성장하는 이유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부터 지역의 전통시장 14곳에 대해 공동배송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1곳 당 1개월 평균 배송 건수가 지난 2018년 295건에서 지난해 225건으로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배송 횟수로는 하루 9~7건에 불과한 셈이다. 시 관계자는 “전통시장 1곳 당 2명의 관리인을 공동배송센터를 확충하기 위해 1명으로 줄이고, 참여 시장을 늘렸다”며 “예산을 무한정 늘릴 수 없어, 선택한 방법”이라고 했다. 

 

현재 시가 계획하고 있는 소상공인의 공동배송센터도 관리자 1명과 픽업기사 2~3명에 그친다. 군·구 1~2곳의 배송만 가능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의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30% 수준으로 깎여서, 우선 1곳으로 시범 운영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소상공인공동배송센터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국비 확보 등을 통한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동준 인천연구원 교통물류부 연구위원은 “지자체 차원에서 시작은 하지만,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중앙정부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며 “예산을 확보해야 물류산업의 특성인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사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량을 소상공인으로부터 받아오는 것 뿐 아니라 배송하는 과정까지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우선 지자체 자체 사업으로 추진을 하면서 확대 가능한 부분을 따져 볼 것”이라며 “초기에는 군·구 1~2곳 수준이지만, 나중에는 확대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