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줄어드는 ‘착한가게’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저렴한 가격, 청결한 운영, 기분 좋은 서비스로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가게. ‘착한가격업소’다. 흔히 ‘착한가게’로 불린다.

 

정부가 2011년부터 서비스 가격이 지역 평균보다 낮거나 시장가격 안정에 기여한 업소에 인센티브를 주는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물가안정을 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를 우리 동네 좋은 업소로 지정, ‘착한가격업소’라는 스티커를 붙여준다. 자치단체별로 쓰레기봉투 무상 제공, 상하수도요금 감면, 업소 홍보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지난해 말 기준 착한가격업소는 전국 6천146개소다. 691개소는 경기도에 소재한다.

 

최근 착한가격업소들이 줄고 있다. 경기도에 작년 상반기 706곳이 있었는데 반년 사이 15곳이 줄었다. 식자재값 폭등과 함께 전기료와 가스비 등 공공요금이 인상돼 착한 가격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월급 빼고 안 오른 게 없다는 고물가 시대에 가격을 올리지 않은 착한가게들. 서민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가게들이 더 이상 버텨내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짜장면 한 그릇이 2천500원으로 주변보다 크게 저렴한 가게는 한 명이라도 더 싼 가격에 식사할 수 있도록 20년 넘게 2천원대 가격을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깊은 고민에 빠졌다. 밀가루와 식용유 가격이 지난해보다 40% 이상 오르는 등 식자재값이 폭등한 데다 전기·가스비까지 인상돼 가격을 유지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함께 살자는 마음으로 버티다가 가격을 올리는 착한가게들도 속출하고 있다. 실제 10여년간 5천원을 유지하던 냉면값을 6천원으로 올려 1월부터 착한가게 지정이 취소된 사례가 있다. 가게 살림이 나빠져 5개월째 밀린 월세를 갚지 못해 폐업을 고민하다 착한가게를 포기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이어 물가폭등 여파까지 덮치면서 착한가게들이 큰 고통이 겪고 있다. 착한가게 유지를 못하고 무너지는 가게가 늘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물가안정 운운하며 무조건 ‘착함’을 강요해선 안된다. 착한 가격을 유지해 가게도 살고 소비자도 도움이 되게 제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