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상담·심리교육 등 동일 운영 “차별성 갖는 광역형 기능 가져야” 道 “고유한 역할 하도록 노력할 것”
경기도 심리지원센터가 광역단위의 업무는커녕 도내 일선 시·군별로 마련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같은 상담·교육에 머무르며 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 센터와의 기능 중복으로, 도 센터의 존치 문제까지 불거지고 있어 ‘광역형 심리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 심리지원센터는 ‘경기도 심리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지난 2021년 9월 용인시에 문을 열었다. 심리지원센터는 ‘공공심리지원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경기도민 삶의 질을 높인다’는 설립 목적에 따라 3년간 시범 운영에 들어갔으며, 올해로 2년차를 맞았다.
현재 심리지원센터는 심리 검사, 개인 상담, 심리 교육, 집단 모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라 도민의 심리적 어려움을 지원하겠다는 목적으로 설립됐지만, 제공하는 서비스는 도내 31개 시·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이미 지원하고 있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보건복지부가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라 지난 1999년부터 전국에서 운영 중인 기관으로, 24년간 정신건강 상담을 진행하고 치유 및 교육 등을 하고 있다.
특히 정신질환자 등을 의료기관에 연계하고 자조·회복 모임을 운영하거나 사례관리를 추진, 쉼터 및 카페 등 쉴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 세부 사업까지도 도 심리지원센터가 동일하게 운영하는 상태다.
더욱이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수원특례시에 4곳, 고양특례시 2곳, 성남시 2곳, 부천시 2곳을 비롯해 도내 기초지자체에 37곳이나 있다. 이들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도 정신건강복지센터까지 더하면 모두 38곳이 인구수에 따라 고르게 분포돼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 심리지원센터가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차별성을 갖는 광역형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같은 업무를 하려면 다른 기관이 만들어질 필요가 없고 예산 낭비다”라며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공청회 등을 통해 역할을 정확히 나누고 사업 방향, 기획 등을 하는 광역형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개인 상담을 멈추고 심리 상담 메뉴얼을 개발하게 하는 등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심리지원센터가 고유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