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주도하는 플랫폼 구축... 이번 계기 시스템 점검·보완 총력 남부청 사이버수사과 수사 협조... 교육부 “재발 방지책 마련 온힘”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가 해킹돼 학생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의혹(경기일보 2월20일자 7면)이 불거진 가운데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학생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20일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적극적인 경찰 수사 협조와 철저한 자체 시스템 점검을 통해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임 교육감은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에 최대한 협조하고 내부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위해 사이버 수사, 자체 점검 등 모든 것에 협조해 과학적으로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사안을 계기로 우리가 주도하는 디지털 플랫폼을 만드는 데 완벽을 기해야 한다.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며 도교육청이 주도하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 완벽을 기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다만 임 교육감은 해킹 의혹과 유출 경로에 대해선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임 교육감은 “지난 11월 시행된 전국연합학력평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일정으로 인해 도교육청 자체 시스템으로 관리해왔다”며 “자료 유출이 해킹에 의한 것인지 시스템 문제인지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도교육청은 이날 오후부터 북부청사 3층에 비상상황실을 설치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민원 대응,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팀’을 구성, 유관기관과 협력해 철저한 사고분석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앞서 전날 새벽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도교육청 서버를 해킹했다는 주장이 담긴 글이 올라왔고, 암호화 메신저앱인 텔레그램에는 ‘2학년 개인성적표 전체’라는 파일이 유포됐다. 이 파일에는 전국연합학력평가에 응시한 전국 15개 시도교육청 고2 학생 30여만명의 소속 학교와 이름, 성별 등이 포함돼 있었다.
한편 교육부도 이날 경기도교육청과 함께 자체 조사에 나섰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긴급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출 자료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를 전날부터 취하고 있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원인이 규명될 것으로 보이고,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책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