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경기도청을 압수수색한 가운데 도청 공무원들이 ‘과잉 수사’라며 반발했다.
경기도청 공무원노동조합은 24일 “경기도청 과잉 압수수색을 중단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며 “김동연 지사 취임 이후 8개월 동안 전임 지사 혹은 이 전 부지사와 관련 모두 13차례 압수수색을 당해 도정이 마비될 정도”라며 “해당 사건에 국한해 수사하고, 애꿎은 경기도민과 경기도청 공직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도 성명을 통해 “압수수색 범위가 무차별적이고 전방위적”이라며 “올해 사업계획을 세우고 집행하기 위해 도민과 만나고 전년도 사업을 정산하느라 바쁜 시기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압수수색과 감사원 감사는 자괴감을 느끼게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통합공무원노동조합 역시 성명을 통해 “성실하게 열심히 일한 도청 직원들이 무슨 죄인가”라며 “해도 해도 너무한다”고 밝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에서는 ‘검찰은 왜 경기도에 집착하는가?’라는 논평을 통해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민생을 살펴야 할 업무에 공백이 생기고 있다”며 “검찰은 경기도에 집착하지 말고 본연의 책무를 다하라”고 지적했다.
앞서 수원지검 형사6부는 지난 22일부터 3일째 경기도청을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은 도지사 집무실과 비서실, 경제부지사실과 행정1·2부지사실, 도의회 3개 상임위 등 20여곳에 이어 이날도 경제부지사실 비서와 소통협치관실 직원들 PC에 대한 포렌식이 진행됐다.
경기도청은 이 사건의 공범 의혹을 받는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근무한 곳이다. 그러나 지난해 5월 도청사가 이전했고, 지난 7월 민선 8기가 출범함에 따라 업무용 PC 등이 상당수 교체된 상태로 알려졌다.
이 전 부지사는 2018년 7월부터 2년간 평화부지사로 재직하며 경기도의 대북 교류·협력 사업을 담당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