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구가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구에 따르면 지난달 말 치매안심센터에 치매정신건강과를 신설하는 등 1과 3팀으로 조직을 확대, 치매 예방 서비스를 확대한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동구지역의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인구 5만8천999명 중 1만4천703명으로 24.9%를 차지한다. 치매 유병률 또한 10.3%로 인천시 전체 유병률 9.85%보다 높다.
이에 따라 구는 올해 치매 예방의 첫걸음인 치매 조기 검진과 예방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구는 60세 이상 주민의 치매 조기 검진율을 매년 1%씩 높여 오는 2026년까지 10%를 달성할 계획이다.
또 구는 검진 결과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 경우 협력병원 연계 등을 통해 진단 및 감별검사와 함께 검진비용도 지원한다. 센터 방문이 어려운 대상자를 위해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과 협력해 찾아가는 조기검진도 한다.
이와 함께 구는 지역주민의 치매 발병위험을 낮추려 치매안심센터에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등 노인사회 활동시설을 찾아가는 프로그램도 한다. 저조한 사회활동과 영양·건강관리 부족 등으로 인해 치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홀몸 어르신을 대상으로 ‘가가호호(家家戶戶) 1대 1 방문 프로그램’도 한다.
특히 구는 치매안심센터 방문 주민을 대상으로 뇌파검사를 사전 예약제로 운영한다. 뇌 고유 리듬 노화도를 평가해 치매를 조기 예측할 수 있는 비침습적 부착형 검사이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하는 인지장애,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치매 유발 위험요소를 체크하고, 인지 선별검사(CIST) 등 선제적 치매 예방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치매안심마을을 운영해 나간다. 또 치매 인식개선을 선도하는 치매파트너, 치매극복선도단체 등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구는 송림6동과 금창동을 치매안심마을로 지정했다. 구는 2025년까지 1개 마을을 추가 지정, 주민 주도하에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김찬진 구청장은 “치매는 조기에 발견해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질병”이라며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지역사회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