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시설 추가 확보 '관건'
인천시가 2027년까지 지역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처리 용량을 1일 1천795t을 확보하는 등 늘어난 쓰레기 양에 대한 처리 방안을 마련한다.
시는 27일 ‘제2차 인천시 자원순환시행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계획’을 공개하고, 오는 2027년까지 이뤄질 자원순환정책의 구상을 공개했다.자원순환시행계획은 지자체가 2018년부터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설정하는 자원순환 분야의 최상위 행정 계획이다.
시는 우선 소각대상 폐기물량이 종전 1천14t에서 오는 2027년에는 1천78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이를 위해 300일을 기준으로 여유율을 적용해 공공 소각시설의 시설 용량을 종전 1천50t에서 1천795t톤으로 늘린다. 시는 2027년까지 1일 1천485t의 소각을 처리한 시설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시는 코로나19 등으로 쓰레기 양이 증가하면서 2027년의 목표 지역총생산당 발생하는 폐기물을 종전 76.4t에서 118.3t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인천에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3)보다 코로나19를 지나오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시는 늘어난 폐기물 처리 용량을 대비해 소각시설 신규 처리 확보가 불가피 하다고 평가했다. 시는 2026년 가연성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따라 현재 운영하고 있는 광역폐기물 처리시설을 포함해 부족한 소각용량 확보가 시급하다.
이 밖에도 시는 도서지역인 옹진 자월도와 북도, 연평도에 매립용량 120~6천㎡규모의 매립시설을 신설하는 계획을 포함하기도 했다. 백령도와 연평도, 대청도도 매립 용량 증설할 계획이다. 현재 도서지역은 폐기물의 육지 이송 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지역 단위 처리를 해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1차 자원순환시행계획을 만들 때보다 코로나19로 폐기물량이 늘면서 목표치를 상향 조정했다”며 “추가적으로 소각시설에 대한 논의는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 시행계획에는 용량 부문만 담았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