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준공 15년 이상 55만호 전망... 기본계획 용역, 구체적인 방안 마련
인천시가 최초로 지역의 낡은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밑그림을 그린다.
1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30년 기준 준공 15년이 지나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용역에 나선다. 시는 용역을 통해 얻은 리모델링 계획을 토대로 지역에서 이뤄지는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이번 용역의 기간은 12개월이다. 2030년을 기준으로 준공 15년이 지나는 공동주택은 55만호에 이를 전망이다. 시는 최근 지역의 공동주택 노후화가 급격하게 이뤄지는 데다, 재개발·재건축 등의 지연·중단으로 인한 주거환경 악화를 막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리모델링 대상 공동주택의 유지·관리·개선 방안 등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일반적 유지 관리’, ‘가구수 증가형 리모델링’, ‘맞춤형 리모델링’, ‘재건축’ 등 4가지로 나눠 각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추진 방식을 분석한다. 일반적 유지 관리는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낮아 유지관리만 필요하며, 가구수 증가형 리모델링은 유지관리로는 주택 성능 유지가 불가해 가구수 증가가 필요한 유형이다. 맞춤형 리모델링은 가구수 증가없이 노후 배관교체·화장실 추가 등 성능 개선을 하는 유형이며, 재건축은 리모델링이 불가해 재건축사업이 필요한 유형이다.
이를 위해 시는 2030년 인천주거종합계획 및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등과 연계한 도시기본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시는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공동주택의 연령·가구별 인구의 구성과 변화 추이를 비롯해 도로, 상하수도, 공원·녹지, 교육시설 등 주요 기반시설의 설치·계획 현황 등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시는 친환경 리모델링을 위해 에너지 저감형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의 에너지 저감·효율화 및 자원절약 등을 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계획을 토대로 리모델링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금조성계획 등 자금 확보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 분야별로 전문가의 자문을 듣고 공람을 통해 주민 의견을 모아 리모델링 사업에 반영한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노후 공동주택이 급격하게 늘어나 리모델링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어 “시민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주택에 살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