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북부권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개발제한구역 조정 검토에 나선다.
시는 최근 예산 1억원을 투입해 ‘인천시 녹지축 관리 및 도시관리계획 변경 용역’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이 용역을 통해 1972년 이후 개발제한구역이 최초 지정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환경 변화를 살피고 개발제한구역의 조정 등 신규 해제 후보지를 살펴볼 방침이다.
현재 시는 이미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인 909만㎡를 대부분 소진했다. 이 때문에 시가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에 따라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개발제한구역 대체 지정을 하고, 해제 총량을 맞춰야 한다. 시는 정부 사업인 구월 2지구 공공택지 개발사업과 계양 테크노밸리 사업에 필요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물량과 북부권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제한구역 추가 지정 및 해제가 불가피 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또 이번 용역을 통해 한남정맥 주변의 녹지축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과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 기준, 도시계획 규제 수준을 검토한다. 또 국·공유지가 있는지 파악한 뒤 정책연구과제를 통해 도출한 대체지정 후보지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앞서 시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는 백석수변지구와 장기친수지구 등 약 200만㎡의 규모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 해야 한다. 당시 시는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 개발제한구역을 풀어 신도시를 개발하고 인천도시철도(지하철) 1·2호선과 서울지하철 7호선을 잇는 북부순환철도망을 구축하는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을 발표했다.
시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이 들어선 1972년 이후 환경적·정책적 변화에 따라 필요한 개발제한구역 대체지 지정 검토에 나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용역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대체지의 현실적 가능성을 따질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