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경제·일자리 인식조사 결과 발표
경기도민 10명 중 9명 이상이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구조적 장기불황’ 또는 ‘일시적 경기침체’로 인식하는 등 민생 경제 위기를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기도의회가 최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할 분야로는 ‘일자리 창출 및 고용불안정 해소’가 꼽혔다.
경기도의회는 2일 ‘2022년 5차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도민 경제 및 일자리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도의회는 도민의 경제상황 체감도를 측정하고, 맞춤형 경제정책 방향을 설정하고자 이 같은 내용의 인식조사를 추진한 바 있다.
이날 도의회가 공개한 자료를 살펴보면 경제 상황 인식과 관련해 ‘구조적 장기불황(66.9%)’과 ‘일시적 경기침체(30.5%)’라는 부정적 의견이 97.4%로 집계됐다. ‘경기침체가 아니다(2.6%)’라는 응답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
경기침체 원인은 ‘러-우 전쟁, 미-중 갈등, 에너지 가격 등 글로벌 경제상황’이 42.8%로 가장 높았다.
올해 경제상황에 대해선 응답자 절반 이상이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실제 54.6%가 ‘나빠질 것’으로 예측했고, 34.1%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봤다.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1.3%에 불과했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도의회와 도가 노력해야 할 분야로 응답자 39.2%가 ‘일자리 창출 및 고용불안정 해소(39.2%)’라고 답했다.
이밖에 도민에게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도일자리재단’에 대해 10명 중 3명 정도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방위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일자리재단 비인지율은 66.5%로 인지율 33.5%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도의회 관계자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집행부와 공공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글로벌알앤씨㈜’에 의뢰해 지난달 1일부터 6일까지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및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 포인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