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자체 4곳 중 1곳은 전무... 산후조리원 원정에 산모불편 호소 전문가 “정부·민간 대책 고민해야”... 道 “불균형 해소 위해 노력할 것”
경기도내 4곳 중 1곳의 지자체에 산후조리원이 전무해 해당 지역 산모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임신‧출산 의료기관 격차에 따른 젊은 층 비유입으로 인구 고령화 및 지역 소멸 우려도 제기된다.
8일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1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81.2%며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로 산후조리원을 선택한 출산 가구가 78.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18년 결과와 비교해 본인 집과 친정의 산후조리 장소 선호도는 감소했지만, 산후조리원은 75.9%에서 78.1%로 증가했다.
이처럼 산후조리원 선호도와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 산후조리원이 없는 기초지자체는 과천, 광주, 동두천, 안성, 가평, 양평, 연천 등 7곳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출산한 김우영씨(35·가명)는 안성에 거주 중이지만 안성에는 산후조리원이 없어 평택에 있는 병원과 조리원을 이용했다. 종종 만삭의 몸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해 평택까지 왔다 갔다 해야 하는 곤욕을 치렀을뿐더러 출산 후엔 남편이 매일 저녁 평택으로 퇴근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광주에 사는 황지원씨(38·가명)는 임신 12주차가 넘어서며 타지역의 산후조리원도 이용할 수 있는 병원을 알아보는 중이다. 황지원씨는 “광주에 있는 산모들은 대부분 성남으로 가서 출산하고 산후조리도 하고 있다”며 “출산을 독려하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임신과 출산 과정에 번거로움이 있다는 건 모순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같이 지역 간 임신‧출산 인프라가 불균형한 상황에서 의료기관이 부족한 지역은 출산을 앞뒀거나 출산 계획을 세운 젊은 층의 거주 유인이 없는 점 역시 문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원장은 “저출생‧고령화는 물론, 이로 인한 지역소멸의 문제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으로 인구가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중요하다”며 “산후조리원과 같은 출산과 관련한 의료인프라 구축은 기본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도내 기초지자체에 공공산후조리원과 관련한 지원을 하기 위해 수요 조사를 진행했고 해당 사업을 검토하는 단계에 있다”면서 “인프라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