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 2만㎡ 체육시설 조성
인천시가 만수공공하수처리장의 증설·지하화를 본격화한다. 시는 만수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상에는 체육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9일 시에 따르면 이날 열린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만수공공하수처리장의 증설·지하화에 관한 심의’에서 남동구 서창동 500의161 만수하수처리장 일대의 그린벨트 관리계획 변경을 최종 승인받았다. 5번째 심의 도전만에 통과한 것이다. 시는 지난해 4차례에 걸쳐 중도위 심의를 받았지만 시설률 및 수익금 활용 방안, 처리용량 증설 타당성 등의 이유로 모두 보완·보류 처분을 받았다.
이에 따라 시는 당장 다음달 만수하수처리장 증설·지하화를 위한 공사를 착공할 계획이다. 시는 당초 7만t이던 만수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을 10만5천t으로 증설하고 처리시설을 지하화한다. 또 처리시설이 있던 지상 부지 2만㎡에는 다목적 운동장과 둘레길, 분수대 등 체육시설과 주민편의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준공은 오는 2025년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중 국토부로부터 관리계획변경 승인을 받은 뒤 만수하수처리장 증설·지하화 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인가 등의 행정절차를 밟을 방침이다.
시는 이번 심의에서 만수하수처리장 증설 용량의 타당성 등에 대한 자체 분석자료를 제출했기 때문에 심의를 통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지난해 연달아 심의에서 보류 처분을 받자 지난달 한국환경공단을 통해 인구수·처리용량 등을 반영한 증설 타당성을 확보했다.
시는 만약 이번 심의에서도 보완·보류 처분을 받으면 다음달 착공을 못할 뿐만 아니라 민간사업자의 대출 이자 문제 등으로 민간사업 자체를 백지화하려 했다. 시는 시설률 등으로 인해 심의에서 보완·보류 처분을 계속 받자 당초 전체 부지의 44%였던 주민편의시설을 16.4%로 줄이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심의를 통과한 만큼 만수·논현·구월동 등 주민 25만명분의 하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남은 행정절차를 계획대로 마무리하고 착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시는 만수하수처리장의 처리 능력이 떨어져 1만3천t의 하수 처리를 승기공공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사정이어서 증설·지하화를 추진해왔다. 이곳 부지 11만1천684㎡는 그린벨트로 묶여있어 지하화를 하려면 국토부 승인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