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 반대’ 인천시 광역 소각장 제동… 발생지 처리원칙 가나

계양구 “주민 피해 커, TF 탈퇴”... 동구 “타당성 없어…재검토해야”
건립 불발 땐 쓰레기대란 불가피... 市 “인센티브 마련해 협의 노력”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송도소각장(자원순환센터) 전경. 경기일보DB

 

인천시의 4개 권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 계획에 대해 해당 지역 구청장들이 나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026년 생활폐기물의 매립지 직매립 금지로 인한 쓰레기 대란을 막으려면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지역별 소각장 건설이 불가피, 시와 군·구간 의견 조율 등이 시급하다.

 

22일 시와 군·구 등에 따르면 시는 동부권(부평·계양구) 소각장 건립의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등 행정절차를 전담할 기초지자체를 정하기 위한 부평·계양구와의 3자 태스크포스(TF) 운영을 중단했다. 윤환 계양구청장이 “계양테크노밸리(계양TV) 등을 포함한 계양지역에 광역 소각장을 지을 수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윤 구청장은 “계양TV 인근에 이미 부천시의 소각장이 있어 주민 피해가 크다”며 “더는 소각장을 지을 수 없는 만큼, 시의 TF에 참여할 의미도 없다”고 했다. 이 때문에 시와 부평·계양구의 TF는 2차례 회의만 했을 뿐, 출범 1개월만에 사실상 해체 수순이다.

 

현재 부평지역에는 광역 소각장을 지을 부지가 없는 만큼, 계양TV 등이 소각장 신설 부지로 유력하게 검토가 이뤄져 왔다. 당초 계양TV 조성계획에 소각장 부지가 있었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백지화했다.

 

계양구는 현재 새로운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아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서구 청라 광역 소각장의 증설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여기에 부평구는 시의 광역 소각장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시가 주도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차준택 부평구청장은 “수년간 시가 부천시와 협의해왔는데 갑자기 (부평·계양)구가 책임지는 게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특히 서부권(중·동구·옹진) 광역 소각장 건립도 구청장들이 직접 나서 시의 계획에 반대하고 있다. 김찬진 동구청장은 최근 시장·군수·구청장 정책회의에서 “서부권 광역 소각장의 타당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중·동구 내륙지역의 인구가 10만명에 불과해 광역 소각장 건립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구청장은 “서부권 광역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에서 동구지역의 소각장 후보지를 발표하면 주민 반발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시가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공론화 작업을 먼저 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구청장의 이 같은 재검토 요구는 중구가 서부권 광역 소각장에서 아예 발을 빼려 하기 때문이다. 현재 중구는 영종도에 있는 소각장을 활용하는 등 중구지역의 쓰레기는 자체 처리하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자칫 동구는 자체 소각장을 지어 운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현재 동구는 부두 인근 준설토투기장 등에 대해 내부 검토하고 있다.

 

시의 광역 소각장 정책에 이 같이 군·구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당장 소각장 신설에 필요한 시간만 흘러가고 있다. 2026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에 대비하려면, 최소 올해 입지를 선정해 주민의견수렴 및 용도변경 등의 행정절차를 밟아 2024년 말에는 공사에 착수해야 한다.

 

변병설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지금처럼 구청장들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만 생각해 무조건 반대하면 인천의 쓰레기 문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결국 군·구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생활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플랜 B’로 각 지역별 소각장을 만들 수 밖에 없다”며 “이는 행정적, 예산적 큰 낭비”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수년간 논의한 소각장의 광역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결국 발생지에서 처리하는 최악의 선택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각종 인센티브를 마련해 군·구와 더욱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