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사전 충분한 검토를 거치지 않은 채 연간 14억원 대 운영비 투입이 예상되는 구리시민축구단(K4) 창단에만 급급한 것으로 지적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관련 조례 없는 사업비 반영 요구는 물론 사전 용역 사업 또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나 창단 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이같은 지적은 시가 구리시민축구단 창단과 관련, 시의회 보고 및 사업비가 반영된 올해 1차 추경안 제출 과정에서 제기됐다.
26일 구리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구리시민축구단(K4) 근거 마련을 위해 오는 7월까지 관련 조례를 제정한 후 이후 시설물 개선 공사, 사단법인 설립, 코칭 스테프 및 선수단 구성, 축구단 운영비 편성, 대한축구협회 K4리그 참가 신청 및 동계 훈련 등을 거쳐 내년부터 경기에 참가토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간 14억원대의 축구단 운영비가 시 자체 예산으로 지원되며 창단에 앞서 연고지 경기장 시설 개보수를 위해 이번 제323회 구리시의회 임시회(27~31일 개최)에 총 3억8천여만원 규모의 사업비 편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축구단 창단에 72.9%가 찬성하는 내용의 시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등 관련 용역 결과를 제시했다. 하지만, 의회 보고 과정부터 관련 조례 부재 등 부실한 준비 과정이 제기되고 있다.
권봉수 의장은 “연간 소요 예산이 14억원 정도로 추산되는 축구단의 경우, 창단에 대한 납득할만한 이유가 있어야 하고 주민편익시설인 소각장 내 운동장을 근거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것도 타당한 지 의문이 든다”면서 “특히 조례 제정은 물론 관련 정책 등이 승인되지 않은 가운데 사업비(시설개선 공사비) 반영 요구는 물론 특히 시민 상대 설문조사 및 시가 시민축구단 창단 근거로 제시한 국민체육진흥법(직장 체육의 진흥) 등도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아직 구리시민축구단 창단과 관련된 조례 제정 등 준비가 미흡한 상황에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임시회 소집을 요구한 것은 예산 편성 절차에 어긋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리시는 시민구단 창단 타당성 연구용역 등을 통해 축구단 창단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