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물관 포화, 남양주 혼자 애쓸 일 아니다

박물관 수장고 포화 문제는 해결될 것인가. 남양주시립박물관이 본보기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일단 시와 시의회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남양주시의회가 박물관을 방문해 대책을 숙의했고, 남양주시는 몇 개 방향을 제시했다. 공간 효율성을 위해 수장고 수납체계를 변경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한 예산 확보에 시의회가 협조하기로 했다. 경기일보가 지난 2월1일 남양주시립박물관 수장고 포화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시와 의회가 함께하는 모습이어서 좋다.

 

그럼에도, 앞서의 기본적인 의문과 걱정은 바뀌지 않는다. ‘근본적인 대책이 있나’. ‘근본 대책이 있기는 한 것인가’. 이를테면 남양주시가 생각하는 ‘수장고 공간 효율성 확대 구상’은 비슷한 전례가 있었다. 중앙박물관이 해봤던 대책이다. 2019년과 2020년 수장고 중층화 사업을 했다. 수장고의 물리적 공간을 넓히는 작업이었다. 수장고 수용률이 2017년 102.5%에서 2020년 87.8%로 낮춰졌다. 하지만 2년 만인 2022년 96.3%로 다시 높아졌다.

 

박물관 부지를 늘리는 작업도 남양주에서 어렵다.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묶여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수장고 한 곳을 추가로 증축한 적이 있다. 나타난 효과는 미미했다. 수장고 수용률은 그 후로도 한계로 가고 있다. 현재 시의 수납 체계 변경 대책을 정확히 설명 받은 바 없다. 아마 지금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재배치 등이 아닐까 싶다. 그거라면 기대치를 높게 두기 어렵다. 앞서 살폈듯이 국립중앙박물관도 2년만에 다시 찬 대책이었다.

 

남양주시만의 일이 아니다. 남양주시를 탓할 일은 더욱 아니다. 모든 박물관 수장고에 닥쳤거나 닥칠 일이다. 중앙박물관도 2010년 이후 포화다. 지방자치단체 박물관들도 마찬가지다. 걱정되는 수장고 수용률은 대략 80% 수준부터다. 그 80%를 넘긴 지자체 박물관이 2022년 15곳이다. 2017년 7곳이었는데 그 새 두 배로 늘었다. 곧 모든 박물관의 수장고가 꽉 찰 것이다. 안타깝게도 그 모든 박물관 가운데 이미 꽉 차 있는 곳이 남양주시립박물관이다.

 

남양주시의 ‘수장고 대책’이 전국 표본이 될 것이다. 유물 안 보이게 눈앞에서 치우는 정도로는 안 된다. ‘영원히 남는 유물’ 아닌가. ‘영원히 유효한 대책’이 필요하다. 광역·전국이 다 함께 고민해야 한다. 보관 유물의 법률적 개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민간(토지박물관 등)·개인과의 공조 관계 등을 과감히 논의해야 한다. 정부 방향이 필요하고, 법 개정이 필요하고, 국비 지원까지 필요한 일들이다. 지방, 중앙, 민간이 참여하는 대토론회가 필요하다.

 

이 절차-매우 어렵지만 반드시 필요한-를 남양주시가 시작해 보면 어떻겠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