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도로 지하서 ‘공동’ 무더기 발견

노면 아랫부분 텅빈 공간 196개... 市, 싱크홀 ‘시한폭탄’ 대책 분주

고양특례시가 도로 아래 숨은 구멍 찾기 등 땅꺼짐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특례시 주요 도로 지하에서 공동(空洞)이 무더기로 발견돼 대응에 나섰다.

 

29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지반침하 사고가 2018~2022년 5년 새 30건이 발생했고 1기 신도시로 개발된 일산동구에 집중된 가운데,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 차량과 시민 통행이 잦은 57개 도로 등에 지표 투과레이더(GPR)를 투입해 노면의 1.5~2m 아랫 부분을 탐사해 공동 196개를 찾아냈다.

 

앞서 고층 주상복합 단지인 요진와이시티가 들어선 백석동 일대에선 2018년 온수관 파열과 지반침하로 사상자가 발생하고 도로 통행이 중단됐다.

 

2021년 12월31일에는 마두역 그랜드프라자 건물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지하 기둥이 파손돼 상인과 손님 등 300여명이 긴급 대피했고 이 건물은 지금도 외부인 출입이 차단된 상태다.

 

image
고양특례시가 도로 아래 숨은 구멍 찾기 등 땅꺼짐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시는 상하 수도관 손상이나 굴착 공사, 집중 호우 등으로 침하한 이들 동공에 친환경 유동성 물질을 채워 넣거나 굴착 복구를 했다.

 

백석동 공사현장 인근 보행로에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반침하 감시 시스템을 설치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지반 변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분석을 거쳐 침하 위험성을 예측한다.

 

시는 다음달까지 지하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위험 지역 점검을 강화하고, 각종 지하 시설물 관리자 간 협력체계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20년 이상 지난 하수관로의 누수로 지반이 내려앉을 가능성에 대비해 연말까지 약 40㎞ 달하는 노후 하수관로 점검을 끝낼 계획이다.

 

이동환 시장은 “첨단장비를 활용한 지반조사와 분석을 통한 지하 안전 관리를 강화해 시민 불안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